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yhb10205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연결리스트 - 구현

데이터 삽입, 삭제 함수 오류 범위 설정

작성

·

22

0

insertAt 부분에서 오류 범위를 작성할 떄는 index > this.count라고 하신 반면에, deleteAt 부분에서는 index >= this.count라고 하신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조금 더 부연 설명을 받을 수 있을까요?

답변 2

0

감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감자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yhb10205님!
AI 인턴이 자세히 설명해줘서 제가 따로 설명이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AI 인턴이 설명한 insertAt 함수와 deleteAt 함수 설명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설명을 보시고 예외 상황을 시뮬레이션 해보시면 이해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yhb10205님의 프로필 이미지
yhb10205
질문자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다만 궁금한 점은 강의에서 설명하신 것처럼 인덱스 삽입만으로도 마지막 요소가 삽입이 가능하지만,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마지막 인덱스에 삽입하는 함수를 따로 만들었다고 이해하는 게 맞을까요?

감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감자
지식공유자

네 맞습니다.
insertAt(count, data) 처럼 사용해도 되지만 마지막 인덱스에 삽입하는 경우에 조금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hb10205님, 연결리스트에서 데이터 삽입과 삭제 시 오류 범위를 설정하는 방식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각기 다른 함수에서 사용하는 인덱스 오류 범위 설정의 차이점을 설명드릴게요.

  1. insertAt 함수에서는 index > this.count가 오류 범위입니다. 이 말은,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때는 현재 데이터의 총 개수(this.count)를 초과하는 인덱스에 삽입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 3개의 데이터가 있다면 0, 1, 2, 및 3번 인덱스에는 삽입 가능하지만, 4번 인덱스에는 삽입이 불가능합니다. 즉,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까지 데이터 삽입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됩니다.

  2. deleteAt 함수의 경우 index >= this.count 조건을 사용하여 오류를 체크합니다. 이는 삭제를 할 때, 인덱스가 리스트의 실제 데이터 갯수(this.count)보다 크거나 같으면 잘못된 접근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3개의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인덱스는 0, 1, 2까지 유효하고, 3 이상은 오류로 처리됩니다.

이 같은 차이점은 삽입과 삭제가 가지는 동작의 특성에서 기인합니다. 삽입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새로운 데이터를 채워넣는 과정이고, 삭제는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이나 다른 관련 질문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담고 있는 Q&A 참고하기

삭제 함수의 동작에 대한 설명 보기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yhb10205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