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코드로 배우는 React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네비게이션관련 커스텀 훅

moveToList 질문 드립니다.

작성

·

43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를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ㅎㅎ

 

[네비게이션관련 커스텀 훅] 강의에서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쿼리 스트링에 page와 size가 있는데, moveToList에 파라미터로 page와 size를 전달해서 처리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답변 2

0

구멍가게코딩단님의 프로필 이미지
구멍가게코딩단
지식공유자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열심히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oveToList( )의 경우는 사용자가 보고 있던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3페이지를 보고 있었다면 다시 3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위해서 항상 page와 size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뒤로가기를 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가 보관하고 있는 기존 화면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링크를 통해서 서버에서 최신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정아연님.

쿼리 스트링의 pagesizemoveToList에 파라미터로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관련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기본 동작 이해:

moveToList 함수에서는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pagesize를 쿼리 스트링에서 가져오기도 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와 게시물 수를 설정합니다. 때로는 기본값(예: page=1, size=10)으로 동작하게끔 하여, 명시적으로 파라미터를 전달하지 않아도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파라미터 사용 이유:

  1. 명시적 관리: 프로젝트 요구 사항에 따라 현재 페이지 또는 항목 수를 사용자 경험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즈 하고 싶을 때 명시적으로 pagesize를 넣어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변경 용이성: 특정 페이지나 다른 크기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 파라미터를 통해 쉽게 세부 페이지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3. 동적 기능 강화: 특정 상황에서 기본값이 아닌 사용자 동작이나 앱 로직에 의해 값을 다르게 조정해야 된다면 유용합니다.

관련된 유사한 내용은 이전에 챕터 3 임의로 URL에 size 값을 변경한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면 size가 기본값 10으로 돌아갑니다라는 게시글에서 다루어졌습니다. 여기에는 useCustomMove가 기본값을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해 설명되어 있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더욱 이해가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