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4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인앱 결제 없이 광고수익을 주로할 때, 제가 고객 유치를 위해 들인 광고비를 제한 순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사례가 많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리텐션이 좋은 앱의 경우는 가능할까요? 아니면 구독결제 등 인앱결제를 거의 필수로 봐야할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우진님~
제 경험으로는 구독 서비스나 인앱 결제가 반드시 필수는 아닙니다. 제가 운영하는 앱 중 약 80%는 순수 광고 수익만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모든 앱이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지만(광고를 전혀 하지 않거나 방치한 앱도 있음), 전체적으로 봤을 때 광고비 대비 약 80~150%의 수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라면 1000만원의 광고비 사용 시 2000만원의 광고수익이 발생하는 셈입니다.
구독 서비스나 인앱 결제 상품이 있으면 물론 좋지만, 특별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히 '광고제거' 상품만 판매한다면 오히려 전체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설계 방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광고비를 지출하고도 순수익(애드몹 수익-광고비)이 발생하는 사례는 꽤 많습니다. 다만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타겟 고객과 앱 특성의 일치도: 유치하려는 고객이 고단가 고객인데, 앱의 특성상 저렴한 광고만 노출된다면 수익성이 떨어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타겟팅을 조정하거나 고단가 유저에 맞게 서비스를 개선해야 합니다.
시장 테스트의 중요성: 이러한 부분은 직접 광고를 집행해봐야 알 수 있는 영역이며, 서비스 종류와 카테고리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개발 외 요소의 중요성: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데 있어 개발은 약 3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나머지 70%는 지속적인 마케팅과 수익 최적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리텐션의 영향: 앱의 리텐션이 좋다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잔존 유저가 많다는 의미이고, 이는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리텐션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은 강의에서 다루고 있으니 서비스에 적용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정우진님.
앱의 광고 수익에 대해 문의해 주셨네요. 광고 수익이 광고비를 초과하여 순수익을 꾸준히 발생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리텐션이 좋은 앱:
광고비와 수익의 관계:
인앱 결제 및 구독 모델:
관련 토론이 있는 유사한 질문 및 답변을 추천드립니다:
- 손익분기점이 날 때까지 모든 앱에 광고를 붙여야 할까요?
- 앱출시후 광고를 유지할지 버릴지 판단하는 기준이 있으신지 문의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