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HK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파일 복사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9

0

파일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다가 실무에 응용할 수 있을까 궁금해져서 질문 드립니다.

한 프로세스 안에서 실시간으로 파일을 쓰고 있고, 최대 4GB입니다.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르면 이 파일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는데, 재구성을 위해 (편의상 쓰고 있는 파일을 입력 파일, 저장할 파일을 출력 파일이 라 부르겠습니다) 입력 파일의 일부 내용을 복사해서 출력 파일에 쓰고 있습니다. 쓰기 쓰레드와 저장 쓰레드는 별도입니다. 현재는 이 복사 과정을 파일 포인터를 옮겨가며 진행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Memory Mapped File로 변경한다고 하면 복사 과정에서 쓰기 쓰레드가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나요? 아니면 별도의 처리를 해주어야 하나요?

답변 2

0

널널한 개발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널널한 개발자
지식공유자

한 파일에 대해 여러 스레드에서 동시에 메모리로 매핑하는 것 자체가 허용된다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범위라면 매핑 자체가 실패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성공했다 하더라도 오류가 없음을 보장 할 수는 없습니다. 직접 해보고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요.

그러나 저라면 인프런 AI 답변처럼 동기화를 시도할 것 같습니다. 반대로 의도적으로 데이터가 깨지도록 시도도 할 것입니다. 그래야 정확히 알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동기화를 시도할 때 크리티컬 섹션보다는 뮤텍스를 사용하는 편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파일 입/출력은 메모리 입출력에 비해 매우 느린 편이기 때문입니다.

동기화 문제를 떠나 입력파일에서 데이터를 일을 때 한 번 읽었던 내용을 다시 읽을 가능성이 없다면 이를 활용해 별도의 동기화 객체 없이 동시성을 보장 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더 자세한 것은 관련해 MSDN을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K님.

질문에 대해 설명하자면, Memory Mapped File을 사용하면 파일을 메모리에 맵핑하여 파일의 내용을 메모리에서 직접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파일 포인터를 옮겨가며 복사하는 과정보다 효율적으로 파일 조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메모리 맵 파일을 사용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여러 쓰레드 간의 접근 제어가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쓰기 쓰레드와 저장 쓰레드가 동시에 같은 메모리 구역에 접근할 경우 데이터 일관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쓰레드 동기화를 통한 접근 제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Mutex나 Critical Section 같은 동기화 객체를 사용하여 쓰기/읽기 작업을 직렬화합니다.

관련 정보와 더 많은 세부사항은 다음 URL을 참고하세요:
- “파일 매핑 객체와 memcpy를 활용한 파일 복사 중, 왜 READ와 WRITE가 동시에 필요한가요?”

이 링크의 내용은 파일 매핑과 관련된 접근 방법에 대한 예시와 설명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작업 흐름에 Memory Mapped File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기초를 배우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HK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