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0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재밌고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70%정도 보고 있지만 궁금하게 있습니다.
현재 백엔드 개발자로 근무하고 있는데 저희 환경은 aws의 ec2에 직접 올려
백엔드 서버(spring-boot)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점차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변경하려고
인프라담당자들과 백엔드 개발자들이 스터디 및 환경 구축하고 있는데요. 만약 실무에서
쿠버네티스 환경으로 바뀐다면 개발자들의 로컬 개발 환경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대부분 자바, 스프링 환경이면 인텔리제이등으로 개발 후 테스트를 해볼텐데 컨테이너에서
다른 개발자들과 다 같은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빌드해보고 해야 하지 않는가 싶어서요. 실무에선
어떤식으로 개발자들이 개발하는지 개발, 테스트 , 운영 배포 까지 플로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jhahn님!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D
로컬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싶으실 경우에는 minikube를 사용하시거나
Docker 컨테이너 형식으로 띄워서 테스트를 해봅니다!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테스트 해보고 싶으신 경우
운영 환경과 동일한 환경(스테이징 환경이라고도 부름)으로 인프라를 구축해서
그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는 편입니다!
일반적인 플로우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 노트북에서 개발
(이미지 빌드 전까지는 컨테이너를 띄우지 않고 자체적으로 실행시켜서 테스트 진행. 만약 자체적으로 실행시키기에 제약이 있을 경우 docker-compose 또는 minikube를 활용해 로컬에서 실행시켜 테스트 진행.)
로컬에서 테스트 완료 후 Github에 push
프로덕션 배포를 하기 전에 프로덕션 환경과 똑같은 환경(스테이징 환경이라고도 부름)을 구축해서 그 환경에서 배포 전 마지막 테스트를 진행
스테이징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이상이 없을 경우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
이 외로 또 궁금한 점 생기시면 질문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