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8
0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를 수강하며 개념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ISR로 블로그 글을 revalidate 시간을 24시간으로 많이 넣어둔다고 하셨습니다. 티스토리나 벨로그에선 기존 글을 수정하면 바로 업데이트가 됩니다. 제가 아는 지식으로 ISR을 하게 된다면 24시간 동안 수정해도 기존 데이터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ISR보단 SSR이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ISR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블로그 글이나 뉴스같은 경우 대량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그만큼 대량의 페이지가 HTML 파일로 생성되어 큰 용량을 차지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ISR / SSG를 사용하는 페이지 경로로 Next/Link를 사용하여 접속할 경우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우팅이 이루어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 미리 빌드된 HTML 파일을 렌더링하는 ISR/SSG의 장점이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데, Next/Link에서 ISR/SSG를 사용할 때 어떤 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소중한 시간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1
0
https://nextjs.org/docs/app/building-your-application/data-fetching/incremental-static-regeneration#on-demand-revalidation-with-revalidatepath 이런 식으로 갱신하는 api를 만들어서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는 캐싱을 오래 가져가면 좋습니다.
대부분은 텍스트 기반이라 용량이 그리 크지 않습니다. 이미지도 링크로 하면 되고요.
첫 페이지 로딩 속도가 제일 중요해서 isr/ssg를 하는 겁니다. 그 다음 클라이언트 로딩을 하느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매번 새로운 데이터를 받아와서 보여줘야 하는 서비스는 ssr을 써야죠. 컨텐츠들 특성 살펴보면 개별 컨텐츠들은 isr이 괜찮아보여도 컨텐츠 모음 사이트(포탈, 플랫폼) 등은 ssr이 더 나은 경우가 많습니다
엇!
ISR이 정말 좋아 보이는데, SSR은 언제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SSR 대신 ISR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