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7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지표 설정과 관련한 문의사항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1.인게이지먼트 지표에서 사용자는 신규 사용자가 포함된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신규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의 과업 완수를 측정하는 지표인가요?
2.DAU 수치가 크게 감소했을 때 살펴봐야할 지표 혹은 수치에는 무엇이 있을지 조언을 주실 수 있을까요?
사실 이 질문은 제 경험인데요. 운영하는 휴대폰 관리 앱에 Dau 수치가 크게 감소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신규 유입이나 주요 기능의 완수 비율을 살펴봐도 큰 변화가 없어보이더라구요. 그 이후로 dau가 조금씩 감소 중인데 무엇을 살펴보고 방향을 잡아야 할 지 막막했던 경험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3.지표 모니터링이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에게 모니터링할 지표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서로 제품 성장에 대한 관점이 달라 힘들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설득을 잘 할 수 있는 민우님만의 팁이 있으면 공유해주실 수 있을까요?
4.강의와는 관련없지만 고민 중인 사항이라 질문 목록에 넣어봅니다. 노베이스로 서비스 기획 직무에 들어온 이후, 업무 용어들이 너무 어려워서 닥치는대로 흡수하듯 받아들였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너무 생각없이 여러 어려운 용어를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얼마전에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미팅을 마무리 하고 나오는데, 클라이언트 분이 영어로 된 용어를 많이 쓰는 거 같다고,생소한 용어가 많이 들렸다고 하시더라구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물어보셨는데 설명을 하는 과정에서도 자꾸 큰 단어나 영어로 설명이 되더라구요. 저는 제가 쓰던 용어를 쉽고 명확하게 잘 설명할 수 없는 제 자신에게 좀 실망했어요...평소에 쓰는 업무 용어를 잘 이해하고 남들에게도 잘 풀어서 설명하려면 무엇을 해야할지 조언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혜진님.
프로덕트 지표 설정과 관련된 여러 가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인게이지먼트 지표:
DAU(일일 활성 사용자 수) 감소 시 점검할 지표:
지표 선택과 설득:
업무 용어 사용과 설명 방법:
다음 링크는 지표 설정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도움될 수 있는 게시물입니다:
- 목표 설정 방법에 대한 질문
- 전환율 관련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