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장산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이벤트 만들기 기능 설명

GTM에 최대한 이벤트를 만드는 것이 관리하기 쉽진 않을까요?

작성

·

40

0

섹션 12의 [이벤트 만들기 기능 설명]을 보다가 든 생각입니다.

일부 이벤트는 GTM으로 작성하고 일부 이벤트는 GA4로 작성한다면 한번에 이벤트를 관리하지 못하는 단점 또한 생긴다고 보여지는데, 실무에서는 어떤 방향을 가장 권장하나요?

답변 2

0

GA4 Guide님의 프로필 이미지
GA4 Guide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장산님,

실무에서 많이 나오는 질문입니다. 실무에서의 권장은 GTM으로 통일해서 셋팅하는걸 권장드립니다.(버전 관리 및 히스토리 유지에 최적입니다.)

GA4의 이벤트 수정(만들기) 기능은 GTM으로 이벤트를 셋팅하지 못하는 경우, 차선책으로 활용가능한 정도로 실무에서는 고려하시는게 좋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장산님.

이벤트를 GTM(Google Tag Manager)과 GA4(Google Analytics 4)에서 각각 관리하는 것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이해합니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가지 툴에서 이벤트를 집중 관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면:

  1. GTM을 통한 이벤트 관리:

    • 유연성과 편의성: GTM은 코드 변경 없이 웹사이트에서 쉽게 다양한 이벤트를 설정하고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중앙집중화: GTM을 사용하면 모든 트래킹 이벤트를 한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버전 제어: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쉽습니다.
  2. GA4 이벤트 관리:

    • GA4에서 직접 이벤트를 만드는 건 이벤트 발생이 API를 사용하거나 GA4 내 설정에서만 가능한 경우입니다.
    • 단순하고 빈번한 이벤트보다 복잡한 조건이 필요 없는 경우에 더 적합합니다.

실무에서는 대부분 GTM으로 이벤트를 관리하는 것이 선호됩니다. 이는 추후 변경 및 업데이트가 용이하고, 개발팀과의 의존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무 환경에서는 GTM을 통해 대부분의 이벤트를 설정하고 통합하는 것이 관리상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자료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GA4 이벤트 생성 방법 - GTM, GA4이벤트 차이”
- “이번 강의에 나온 내용 중에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장산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