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bs9514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지표 정의 연습문제

작성

·

80

0

안녕하세요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 제출합니다.

감사합니다.

 

#1.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배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PM입니다. 배너 영역, 메뉴 카테고리, 이런 음식 어때요, 동네 맛집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어떤 지표를 확인해야 할까요? 지표를 정의하고, 지표가 어떤식으로 움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확인해야할 지표

  • 각 4가지 동작으로 진입한 매장 페이지에서 찜하기 또는 장바구니 담기 실행한 비율

어떤식으로 움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는지

  • 비율이 40% 이상이면 잘 동작한다고 정의 , 비율이 10% 미만이면 해당 버튼을 없애거나 개선 진행

* 4가지 기능은 어디 매장에서 주문할지 정해놓지 않은 유저들이 매장 탐색하기 위한 것이라, 주문 완료까지 안가더라도 찜하기 및 장바구니 담기 까지만 해도 잘 동작한다고 판단함


#2. 검색 만족도 지표

배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PM입니다. 고객이 검색 기능에 만족했는지 확인 하려면 어떤 지표를 봐야 할까요? 검색하는 흐름을 떠올려보면서 그 안 에 있는 이벤트를 조합해보세요

검색 기능 만족에 대한 정의

  • 검색으로 원하는 결과가 빠르게 나왔을 때 만족. 원하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검색 기능을 통해 주문까지 이루어진 것

     

확인해야할 지표

  • 검색 결과를 클릭해서 상점 페이지에 진입한 유저들 중 주문 전환된 비율과, 첫 검색 페이지 진입 후 주문까지 진행하는데 걸린 시간, 이것도 방문 상점 수

     

어떤식으로 움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는지

  • 주문 전환 비율이 40% 이상이면 잘 동작한다고 정의 , 주문 전환 비율이 10% 미만이면 검색 기능 개선 진행

#3. 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

배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PM입니다. 검색 필터 기능은 잘 사용되고 있을까요? 필터 기능의 활 성화 지표를 정의하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검색 필터를 사용하는 흐름을 떠올려보면서 그 안에 있는 이벤트를 조합해보세요

검색 필터 기능 잘 사용 정의

  • 필터 기능을 통해 상점 진입 후 주문까지 진행

확인해야할 지표

  • 필터 기능을 통해 상점 페이지에 진입한 유저들 중 주문 전환된 비율과 해당 유저들 중 필터 기능을 통해 방문한 상점 수

어떤식으로 움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는지

  • 주문 전환 비율이 50% 이상이면 잘 동작한다고 정의, 주문 전환 비율이 10% 미만이면 필터 기능 개선 진행

  • 방문 상점 수가 3개 이하이면 잘 동작한다고 정의, 방문 상점 수가 10개 이상이면 필터 기능 개선 진행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배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PM입니다.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 왜 그 지표가 중요할까요? 그것을 어떻게 늘릴 수(줄일 수) 있을까요?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 구매 리텐션 (재구매율 측정)

중요한 이유

  • 지속 발전 가능한 것 까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재구매했다는 것은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것이며 매출과도 직결됨

늘릴 수 있는 방안

  • 코호트 리텐션 분석하여 리텐션이 높은 세그먼트와 동일한 특색 강화하기, 낮은 세그먼트는 동일한 특색 지양하기, 신규 상점 꾸준한 소싱, 푸시알림 마케팅, 구매 전환 퍼널 ux 개선 등

    부족한 지표 분석하여 개선

 

#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

여러분은 이커머스 서비스에서 추천 알고리즘을 만드는 조직의 PO입니다. 추천 알고리즘은 유저의 정보와 유저 로그를 토대로 구매할 것 같은 제품을 보여줍니 다.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지표를 파악해야 할까요? 왜 해당 지표일까요?

추천 알고리즘 성능 확인 위해 파악해야할 지표

  • 추천 상품 클릭 후 접속한 상품 페이지에서 구매로 전환된 비율

이유

  • 구매까지 완료되어야 추천된 상품이 적합했는지 명확히 판단할 수 있음

 

#6.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제일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 왜 해당 지표 가 제일 중요할까요? 그 외에 확인해야 하는 지표를 2개 더 뽑는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 네이버 지도

제일 중요한 지표

  • 장소 정보 조회 리텐션

이유

  • 네이버지도 서비스의 핵심은 장소 정보 탐색이고, 경쟁사인 티맵, 카카오맵보다 강점이기 때문. 또한 장소 정보 페이지에 광고 영역이 있어 매출과도 직결됨

개선 액션 및 그 외 지표

  • 리뷰 수, 사업주 장소 정보 입력 완성률 등 인풋 매트릭 찾은 후 개선

 

#7. 퍼널 개선 프로젝트

여러분들은 가입 퍼널을 개선하라는 미션을 받았습니다. 현재 가입 퍼널 프로세스의 전환율은 약 20%며 가입 퍼널에서 온보딩을 더 진행하는 기능을 만들었습니다. 온보딩의 효과를 파악하려면 어떤 지표를 봐야할까요? 상상이 어렵다면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가정하고 말씀하셔도 좋습니다

온보딩 효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 온보딩 기능 유무로 AB테스트 진행 후 가입 전환율 비교

답변 3

0

카일스쿨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일스쿨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문제 푸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답변해주신 내용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질문을 드려볼게요

#1.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 4가지 동작으로 진입한이라고 해주셨는데 각각의 버튼을 경유해서 찜하기나 담기를 한 비율로 이해하면 될까요?

    • 지표의 이름을 붙여준다면 어떻게 붙이시겠어요?

    • 왜 찜하기일까요? 결제하기가 아닌 찜하기인 이유가 궁금하네요. 밑에 장바구니 담기까지만 해도 잘 동작한다고 판단한다고 작성해주셨는데 찜하기는 장바구니 전 단계인 것 같아서 두개가 모두 포함된 지표가 나올 것 같아서 물어봅니다

       

  • 40%나 10%라는 기준은 어떻게 정하셨나요? 이런 질문을 회사 대표님에게 받으면 어떻게 답변하시겠어요?

 

#2. 검색 만족도 지표

  • 이것도 지표에 이름을 붙이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강의에서 말씀드린 지표들을 사용하면 좋다는 의미입니다. CTR/CVR 등을 사용하면 서로 이해하기 더 편합니다

  • 여기서도 40%, 10% 기준이 나오네요. 검색 -> 주문 전환까지 40%면 꽤 높은 지표일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셨을지 궁금하네요

  • 추가로 검색이나 알고리즘은 이미 정해진 지표가 있을 수 있답니다. 이런 것들도 찾아보시면 도움될 것 같아요

 

#3. 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

  • 여기서 필터 기능의 활성에 주문까지 진행으로 해주셨는데, 필터 본연의 기능에 집중하는 지표를 만든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 주문까지 여부가 아닌 필터 기능이 잘 동작하느냐?라는 질문입니다!

    • 필터의 기능엔 여러가지가 존재하죠. 가까운 순, 가격 순 등

  • 여기서는 주문 전환 비율이 50%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 리텐션은 어떤 서비스에서 모두 다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는데, 제가 "배달 서비스"라고 한정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는 배달 서비스의 특수한 비즈니스 상황을 고려해서 지표를 만들 수 있는지?를 알려드리기 위함입니다

    • 배달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했을 때 어떤 지표를 선택하시겠어요?

    • 참고로 Output 지표(리텐션, DAU 등)가 아닌 Input 지표를 골라보시면 더 도움이 됩니다

  • 늘릴 수 있는 방안에 나온 내용은 일반적인 회사들에서 모두 다 동일하게 말할 수 있는 방안인데, 조금 더 로직을 뾰족하게 생각한다면 Actionable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기 쉽습니다. 지금은 이런거 분석해서 해야지~ 정도만 떠올린 상황인데 회사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에!

 

#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

  • 구매 CVR을 잘 작성해주셨네요! 이 지표 외에도 알고리즘에서 쓸 수 있는 지표가 있답니다

  • 추천 알고리즘도 고유한 지표가 존재합니다. 이런 알고리즘의 지표를 한번 확인해보셔요

  • 추천 알고리즘은 어떤 기준(위에서 말씀해주신 40% 등)을 만들 수 있을까요?

 

#6.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

  • 네이버 지도의 제품 특수성을 고려해서 Input 지표를 뽑아보면 어떤 것으로 해보시겠어요?

 

#7. 퍼널 개선 프로젝트

  • 잘 생각하셨습니다!! AB Test를 학습하신 후에 문제를 또 보시면 아이디어가 떠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문제 푸느라 넘 고생하셨습니다!

 

0

카일스쿨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일스쿨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답변이 조금 늦어지고 있는데 수요일 내로 답변드릴게요!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bs9514님께서 올려주신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에 대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말씀해 주신 배달 서비스 및 다른 문제들에 대한 지표 설정과 관련하여 이전의 유사한 사례나 답변을 통해 더욱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지표:

  • 지표 제안: 각 기능에서의 찜하기 또는 장바구니 담기와 같은 행동 비율을 고려하신 것은 좋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추가 제안: 4-8강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답변에서 제시된 배너와 메뉴 카테고리의 클릭 전환율(CVR)을 참고하시면 더욱 다양한 판단 지표를 설정하실 수 있을 겁니다.

2. 검색 만족도 지표:

  • 지표 제안: 검색 결과 클릭 후 상점 페이지 진입과 주문 전환율을 측정하신 점이 인상적입니다. 검색 후의 사용자 여정을 통해 만족도를 평가하려는 시도가 좋습니다.
  • 추가 제안: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에서 검색 기능의 품질 평가와 관련된 예시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3. 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

  • 지표 제안: 필터 기능을 사용한 후의 전환율과 방문 상점 수를 측정하는 것은 필터 기능의 유용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추가 제안: 강의 내에서 다루는 내용을 토대로 필터 클릭 이후의 사용자 행동과 전환율을 분석할 때 도움이 되는 정보로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를 참고하세요.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 지표 제안: 재구매율 측정은 사용자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추가 제안: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에서 제공하는 리텐션 관련 지표 설정과 분석 방법을 살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

  • 지표 제안: 추천 상품 클릭 후 구매 전환 비율 설정이 적합합니다. 이는 추천 알고리즘의 적시성과 효과성을 평가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 추가 제안: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추천 알고리즘 지표 설명를 확인해 보세요.

6.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

  • 지표 제안: 네이버 지도의 장소 정보 조회 리텐션은 서비스의 핵심 가치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추가 제안: 서비스 내 다른 측면들을 고려하여 추가 지표를 설정할 때 다른 서비스의 지표 설정 예시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7. 퍼널 개선 프로젝트:

  • 지표 제안: 온보딩 기능의 효과를 파악하려면 A/B 테스트를 통해 전환율을 비교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 추가 제안: 퍼널 개선과 관련된 구체적인 지표 설정과 분석 방법에 대해 지표 정의 연습 문제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필요하실 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cbs9514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