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수뼈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메모리 할당방식

Swapping, Manual Overlay, Dynamic Loading, Dynamic Linking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9

0

메모리 오버레이와 스와핑에 대해 찾아 보다가 제목과 같은 기술들을 알게 됐습니다.

 

영상에서는 메모리 오버레이=프로그램을 쪼개 RAM과 2차 메모리에 나눠 담기, 스와핑=필요할 때마다 2차 메모리에 있는 프로세스 조각과 RAM에 올라가 있는 조각 바꿔치기로 설명하셨습니다.

 

근데 더 찾아보니 오버레이도 수동/자동이 있다는 것, 또 스와핑과 비슷해 보이는 Dynamic Loading, Dynamic Linking이라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깔끔하게 정리된 자료가 없어서 정리해 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답변 2

0

감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감자
지식공유자

먼저 메모리 오버레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메모리 오버레이는 임베디드 같은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흔히 사용 됩니다.

메모리 오버레이는 프로그래머가 수동으로 프로그램을 나누는 설계를 해야합니다.

운영체제는 관여하지 않고 프로그래머가 제어합니다.

(자동 오버레이는 운영체제[링커, 로더]가 판단해 자동으로 수행하지만, 가상 메모리와 페이징 기술이 더 효율적이라 현대에선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이나믹 로딩은 실제로 필요한 상황에만 해당 모듈을 불러오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해당 모듈이 필요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한 번도 메모리에 올라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보조적인 역할만 하며 프로그램이 직접 제어합니다.

 

다이나믹 링킹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함수들을 메모리의 한 공간에 올려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printf라는 콘솔에 출력하는 함수를 다이나믹 링킹을 통해 printf함수를 사용하는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것입니다.

다이나믹 링킹은 메모리 절약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졌을 때 컴파일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printf함수만 변경하는 상황이라면 다이나믹 링킹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전체 프로그램을 컴파일해야하므로 컴파일 시간이 길지만, 다이나믹 링킹을 사용해 printf함수를 포함한 파일만 컴파일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이 짧아집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뼈님!

메모리와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술에 대해 혼란스러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메모리 오버레이 (Memory Overlay)

  • 수동 오버레이 (Manual Overlay): 프로그래머가 명시적으로 프로그램의 어떤 부분을 메모리에 언제 적재할지 조정하는 기법입니다. 메모리 사용량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프로세스의 일부만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입니다.
  • 자동 오버레이 (Automatic Overlay): 컴파일러나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적재하도록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스와핑 (Swapping)

  • 필요에 따라 메모리(RAM)에 존재하는 어떤 프로세스의 일부나 전부를 디스크의 스왑 영역으로 옮기고, 다시 필요할 때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가져오는 작업입니다. 이는 메모리가 부족할 때 활용됩니다.

동적 로딩 (Dynamic Loading)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필요에 따라 코드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이 필요한 순간까지 메모리에 적재를 미루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 효율이 증가합니다.

동적 연결 (Dynamic Linking)

  • 라이브러리나 모듈들이 프로그램 실행 시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즉,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부분만 연결하고 로드하는 기법으로, 컴파일 단계에서 모든 것을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모두 메모리 사용 효율을 높이고, 프로그램의 실행시간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하는 기술들입니다.

아래 질문과 답변을 포함한 자료들이 더 상세한 정리와 설명을 제공하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과거 방식에서
- 페이징 & 가상 메모리 관련 질문 드립니다: 페이징 기법과 가상 메모리 관련 내용도 함께 고려해 보시면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수뼈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