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1
1
강의는 master서버만 하나만 해두고 모두 다 설치하도록 했는데 실제는 마스터에 별로 노드들이 생성될텐데요...
이럴경우에 이 강의메 모든 node부분에 해당되는 부분만 해주면 추가적으로 별도 노드에서는 할게 없나요? 별도로 노드들간 알아서 다 연결이 자동으로 되나요?
또한 지금은 마스터 노드에 편하게 들어갈수있어서
접속해서 마스터노드 내에서 kubeadm 초기화 부터 calico설치 dashboard설치등 모두 설치 하는데.
가령 eks같은경우는 마스터 접속이 안될뿐더러...여러 노드들들 생성하는게 일반적인데 이런 환경에서는 실제로
어디위치에서 어떻게 kubeadm초기화명령을 실행하고 또 실행했을때는 마스터 노드를 알아서 찾아서 마스터 노드위치에 kube-scheduler,etdc, control, kube-proxy, kube-apiserver 모두 설치되나요? 그런데 kube-proxy같은경우는 노드마다 설치되는게 아닌지요?
또한 eks같은경우 calico도 어디에서 설치명령어를 실행하나요? 이런경우도 마스터노드를 찾아서 알아서 마스터노드에만 설치가 되나요? 대시보드도 마스터에만 설치가 되나요? 명령어는 어디에서 날리나요? 마스터 노드 접속이 안될텐데요....
헷갈립니다. ㅠㅠ
답변 1
0
강의는 master서버만 하나만 해두고 모두 다 설치하도록 했는데 실제는 마스터에 별로 노드들이 생성될텐데요. 이럴경우에 이 강의메 모든 node부분에 해당되는 부분만 해주면 추가적으로 별도 노드에서는 할게 없나요? 별도로 노드들간 알아서 다 연결이 자동으로 되나요?
-> 현재 (해수편) Sprint4 강의가 오픈되었고, 여기서 Master노드에 Worker노드를 추가하는 설치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Master에 토큰을 발급하고, Worker에서 그 토큰으로 연결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고요. 아래 링크에서 설치 과정을 천천히 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예요.
https://cafe.naver.com/kubeops/458
또한 지금은 마스터 노드에 편하게 들어갈수있어서
접속해서 마스터노드 내에서 kubeadm 초기화 부터 calico설치 dashboard설치등 모두 설치 하는데.
가령 eks같은경우는 마스터 접속이 안될뿐더러...여러 노드들들 생성하는게 일반적인데 이런 환경에서는 실제로
어디위치에서 어떻게 kubeadm초기화명령을 실행하고 또 실행했을때는 마스터 노드를 알아서 찾아서 마스터 노드위치에 kube-scheduler,etdc, control, kube-proxy, kube-apiserver 모두 설치되나요? 그런데 kube-proxy같은경우는 노드마다 설치되는게 아닌지요?
-> eks의 경우 Master 부분은 자체적으로 생성해주고 그 안에 말씀하신 컴포넌트들이 모두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kube-proxy의 경우도 모든 노드에 설치가 되지만, 그렇다고 사용자가 노드를 추가할 때 설치해야 하는 건 아니고, 워커노드가 마스터에 연결이 되면, 이 또한 알아서 설치가 됩니다. 정확히는 daemonset이라는 컨트롤러 때문에 가능해 지는 거고, 쿠버네티스를 관리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은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게되요.
또한 eks같은경우 calico도 어디에서 설치명령어를 실행하나요? 이런경우도 마스터노드를 찾아서 알아서 마스터노드에만 설치가 되나요? 대시보드도 마스터에만 설치가 되나요? 명령어는 어디에서 날리나요? 마스터 노드 접속이 안될텐데요....
헷갈립니다. ㅠㅠ
-> eks에서 calico 설치 가이드는 칼리코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됩니다. (https://docs.tigera.io/calico/latest/getting-started/kubernetes/managed-public-cloud/eks), eks 설치 후 마스터에 명령을 보내기 위해 kubectl이나 eksctl을 세팅 해야 하는데, 그건 AWS 가이드를 별도로 참고하시면 되요. (https://docs.aws.amazon.com/ko_kr/eks/latest/userguide/setting-up.html)
참고로, 제 강의는 개인 PC에서 쿠버네티스를 실습하기 위한 세팅이라 EKS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것과 방법이 다릅니다. 그래서 세팅에 대해서는 EKS 가이드를 보시면 되고요. 모두 세팅한 이후에 쿠버네티스가 돌아가는 방식이나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방법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