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9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사님.
제목의 강의 중에서 depth_first 함수의 동작이 궁금하여 기본 코드에서 "2.코드 변경"과 같이 print 문을 추가 하여 분석 중 "3. 실행결과"와 같이 출력 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질문
Node(3) 출력하기 전에 s-yield가 한번 출력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두 번 출력에 대한 해석이 안됩니다.
f-yield Node(3)
s-yield Node(1) Node(3)
s-yield Node(0) Node(3)
Node(3)
@@추가
질문을 올려 놓고 고민 하다 보니 Node(1).depth_first() 함수가 한번만 호출 된다고 생각했는데.
프로그램이 종료 될 때 까지 총 4번이 호출 되면 말이 되는 듯 한데.. 추측한 시나리오가 맞는지요?
Node(1).depth_first() : next(Node(1)) 4번 호출
Node(3).depth_first() : next(Node(3)) 2번 호출
Node(4).depth_first() : next(Node(4)) 2번 호출
Node(2).depth_first() : next(Node(2)) 3번 호출
Node(5).depth_first() : next(Node(5)) 2번 호출
코드 변경
def depth_first(self):
print("f-yield",self)
yield self
print("f-next",self)
for c in self:
for x in c.depth_first():
print("s-yield",self,x)
yield x
print("s-next",self,x)
실행 결과
f-yield Node(0)
Node(0)
f-next Node(0)
f-yield Node(1)
s-yield Node(0) Node(1)
Node(1)
s-next Node(0) Node(1)
f-next Node(1)
f-yield Node(3)
s-yield Node(1) Node(3)
s-yield Node(0) Node(3)
Node(3)
s-next Node(0) Node(3)
s-next Node(1) Node(3)
f-next Node(3)
f-yield Node(4)
s-yield Node(1) Node(4)
s-yield Node(0) Node(4)
Node(4)
s-next Node(0) Node(4)
s-next Node(1) Node(4)
f-next Node(4)
f-yield Node(2)
s-yield Node(0) Node(2)
Node(2)
s-next Node(0) Node(2)
f-next Node(2)
f-yield Node(5)
s-yield Node(2) Node(5)
s-yield Node(0) Node(5)
Node(5)
s-next Node(0) Node(5)
s-next Node(2) Node(5)
f-next Node(5)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성수님께서 궁금해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재귀 제너레이터 함수 depth_first
는 노드를 깊이 우선 탐색하며 각 노드에서 yield
문이 작동할 때마다 현재의 노드를 반환합니다. 추가하신 print
문 덕분에 이 함수의 실행 흐름을 잘 문맥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대로 Node(1).depth_first()
호출이 여러 번 발생하는 이유는 이 함수가 제너레이터이기 때문입니다. 제너레이터는 next()
호출 시마다 yield
지점에서 나갑니다. 즉, 제너레이터를 통해 루프를 돌면, 각각의 노드에서 yield
지점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제너레이터 호출이 여러 번 발생하는 것은 각 자식 노드로 내려간 다음 자식 노드를 탐색을 마친 후 다시 돌아오면서 상위 노드에서의 for
문이 계속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루트를 포함한 각 노드의 depth_first
함수 호출이 여러 번 발생합니다.
다음은 코드의 흐름에 대한 설명입니다:
1. f-yield
와 f-next
는 각각 노드가 yield
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2. s-yield
와 s-next
는 부모 노드의 컨텍스트에서 자식 노드에 대한 yield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시고 호출의 흐름을 따라가면 모든 yield
호출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추가로 코드를 시각적으로 디버깅하며 노드의 탐색 순서를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제시된 재귀 탐색 예시를 이용하여 이해를 깊게 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내용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