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rrallvv .J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다작을 손쉽게 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 (4) - Server

서버 스펙과 비용에 관하여

해결된 질문

작성

·

138

0

안녕하세요.

서버 스펙과 비용 이미지에서 s3비용이 2.19불 밖에 들어가지 않은걸 봤는데요. 제 생각으로는

  1.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logo이미지정도를 호출(?)

  1. 유저들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기능은 없을거 같습니다.

  2. local storage에 application의 파일들이 저장되어있는거같습니다.

앱 1개당 1달러씩 꾸준히 벌어보자라는 생각을 가지고 접근을 했을떄, s3 비용이 걸림돌이 되어 빼야하는 기능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local DB도 셋업을 하시는것 같은데 이것또한 서버에서 데이터를 불러와 api 호출로 셋업을 하시는건가요?

답변 2

0

프로그래밍좀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프로그래밍좀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말씀주신것 처럼 유저들이 사진을 올리거나 하는 경우는 있지만 용량이 큰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영상과 같은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는 하고 있지 않습니다.

 

S3 기준으로 제가 월 지출하고 있는 비용으로 산정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볼 수 있는데요.

스토리지만 사용하는 경우
- S3 Standard 요금($0.025/GB)으로 약 87GB 저장
- Infrequent Access 요금($0.0138/GB)으로 약 158GB 저장
- Deep Archive 요금($0.002/GB)으로 약 1,095GB(약 1TB) 저장


API 요청만 사용하는 경우
- PUT/COPY/POST 요청($0.0045/1,000개)으로 약 486,000개 요청
- GET 요청($0.00035/1,000개)으로 약 6,257,000개 요청


실제 사용 사례 예시
- 웹사이트 호스팅: 50GB의 이미지, CSS, JS 파일 ($1.25) + 월 270,000회 요청 ($0.94) = $2.19
- 모바일 앱 백엔드: 30GB의 사용자 아바타/프로필 사진 ($0.75) + 월 320,000회 API 호출 ($1.44) = $2.19
- 작은 규모 이커머스: 40GB 제품 이미지 ($1.00) + 월 340,000회 요청 ($1.19) = $2.19


혼합 사용 예시
- 45GB S3 Standard 스토리지 ($1.13)
- 월 90,000회 PUT/POST 요청 ($0.41)
- 월 180,000회 GET 요청 ($0.63)
총 $2.17

생각보다 S3가 많이 저렴하기 때문에 $2 정도만해도 많은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사진 또는 영상이 주 기능이거나,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해야하는 서비스만 아니라면 S3 비용은 크게 걸림돌이 되지 않을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S3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S3 비용이 많이 나온다면, 그건 이미 돈을 잘 벌고 계신 시점이기에 S3에 대한 비용을 걱정하실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local DB의 경우는, 주로 동일한 결과를 던져주지만 서버 호출을 자주 해야되는 부분이나

꼭 서버에 저장해야되는 정보가아닌 네이티브만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e.g) 사용자의 검색기록, 최근본 게시물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rallvv .J님.

서버 스펙과 비용 관련하여 질문을 주셨는데요, AWS S3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비용 절감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AWS S3 비용 관리

  1. 이미지 및 파일 사용:

    • AWS S3는 이미지와 같은 정적 파일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제공하는데 유용합니다. 질문에 언급하신 것처럼 로고 이미지 정도를 호스팅하는 경우 트래픽이 많지 않다면 비용은 굉장히 저렴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만약 사용자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없다면, S3 비용은 크게 신경 쓸 부분이 아닐 수 있습니다. 유사한 상황의 비용 절감을 위해, 정적 파일은 최소한의 용량과 빈도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비용 최적화:

    • S3 비용을 절감하고 싶다면,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정리하고, 필요에 따라 계층형 스토리지를 사용하여 비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AWS의 S3 Glacier를 통해 오래된 데이터나 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Local DB 사용 여부

  • Local Database 사용:

    •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로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설계하면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앱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작은 규모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오프라인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유용합니다.
  • API와 서버 연동:

    • 서버와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 API 호출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로컬 DB에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한 상황에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 및 참고 링크

비슷한 주제에 대한 질문을 미리 검토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WS S3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다음 게시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