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95
0
안녕하세요 좀비님. 먼저 좋은 강의 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와 커뮤니티 질문들을 보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 남기게 됐습니다.
광고를 몇 개월동안 지속해도 적자라면 방치하는 수순을 밟는다는 커뮤니티 답변을 봤습니다. 그러면 반대로 목표했던 수익률을 달성하는 경우는 언제까지 광고를 유지하시나요?
예를 들어 하루 10달러가 목표였는데 개발과 광고를 열심히 해서 목표 수익에 달성했습니다. 그럼 달성한 시점에 광고는 정리하시나요? 아니면 광고 비용을 줄인다던가 잘 되고 있으니 광고비를 더 늘린다던가 같은 다른 전략을 취하시나요?
만약 목표를 달성해도 광고를 계속 유지하는 방향이라면 지출되는 광고비는 앱 개수에 비례해서 계속 커지는 건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광고의 경우 상황에 따라 다채롭게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말씀주신 10달러가 목표라고 가정하고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위 가정에도 같은 10달러지만 결과적으로 다양한 케이스들이 존재하게 되는데요, 몇 가지를 나열해보자면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광고비를 유지해야 10달러 수익이 유지되는 경우
이 경우는 광고를 멈추지 않고 지속해서 돌립니다.
광고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10달러가 유지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광고를 유지합니다. 다만 광고비는 줄어들었음에도 수익이 유지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 더 공격적으로 추가 광고 캠페인을 만들거나, 기존 캠페인의 광고 단가를 증액해봅니다.
만약 광고를 조금 더 추가 또는 단가를 증액했을 때 수익이 증가한다면 그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수익이 줄어든다면 다시 광고 캠페인의 예산을 하향하여 지출을 줄입니다.
광고비를 끊어버려도 이제 어느 정도 기존 유저들 + 자연유입으로 10달러가 유지되는 경우
광고를 통해 성공적으로 사용자층이 생기면서 특정 카테고리나, 키워드로 검색 시 스토어의 상위에 어느 정도 진입하게 되어 광고를 하지 않더라도 자연유입으로 인해 수익이 유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선택의 영역인데, 지출을 최소화하고 싶다면 광고 중단을 유지하고, 좀 더 욕심이 난다면 지속적으로 광고를 해볼 것 같습니다.(전 욕심쟁이라 이런 경우에도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ㅎㅎ)
현재는 10달러를 벌고 있지만 광고비를 끊거나 줄이면 수익도 감소하는 경우
당연히 광고를 유지합니다.
현재는 10달러를 벌고 있지만 광고를 늘리거나, 광고비를 증액하면 거기에 맞춰서 수익도 증가하는 경우
이때는 점진적으로 광고를 추가하거나 예산이나 단가를 높히면서 모니터링합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알고리즘의 수혜를 받은 경우인데, 이때 광고 컨트롤을 잘하면 더 높은 수익의 계단적 상승을 이룰 수 있습니다.
광고비를 줄이면 수익이 감소하는데 광고비를 현재시점에서 더 높히면 적자 또는 수익이 감소하는 경우
현 상황을 유지합니다.
어쩌다 한번씩 추가 광고 캠페인을 개설하여 확률적으로 수익을 높힐 수 있는 씨앗을 심어둡니다.
결론적으로 정답이 있는 건 아니지만, 단순하게 더하기 빼기 개념으로 생각하면 전 100원의 광고비를 쓰고 110원을 벌면 10원의 순수익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1,000원 광고비 → 1,100원 수익 = 100원 순이익
10,000원 광고비 → 11,000원 수익 = 1,000원 순이익
100,000원 광고비 → 110,000원 수익 = 10,000원 순이익
1,000,000원 광고비 → 1,100,000원 수익 = 100,000원 순이익
이런 관점으로 시도해보는 것도 꽤나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정확하게 위 예시처럼 딱딱 떨어지는 경우는 없겠지만 앱마다 돈 넣고 돈을 조금이라도 더 벌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낸다면 그 행위를 반복하거나 더 많이 할수록 광고는 돈복사머신이 될 것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아아아아아아으아님.
앱 광고 유지 기간 및 전략에 대해 질문해주셨네요. 광고를 통해 목표 수익률을 달성했을 때의 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관련된 질문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목표 수익 달성 시:
광고 비용 조정:
수익 목표 달성 후에도 일정한 광고 노출을 유지하는 것이 더 큰 장기적인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