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8
답변 2
1
안녕하세요, 우선 %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해를 못하신 것 같아서 다시 설명을 드립니다.
printf()
를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저 괄호 안에 일정한 문자열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우리가 "" 큰 따옴표로 감싸는 것이죠. 거기 안에는 format이라는 형태로 작성을 합니다.
(참고: https://www.tutorialspoint.com/c_standard_library/c_function_printf.htm)
만약에 우리가 원하는 숫자 변수를 출력하고 싶으면 %d를 쓰면 되고, 하나의 문자는 %c, 문자가 여러 개 나열된 문자열은 %s를 씁니다. 이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그러면 그 부분이 내가 배치한 변수의 순서대로 대치됩니다.
printf("%s|n", str);
이 경우를 봅시다.
지금 str의 값은 H, e, l, l, o라는 5개의 문자 단어가 길게 나열된 상태입니다. (맨 뒤에 보이지 않는 \0 문자 있음)
그래서 %s로 출력을 하면 o 뒤에 \0를 만날 때까지 모든 문자를 계속 출력해줍니다.
(%c는 문자 1개를, %d는 십진수를, %s는 \0을 만날 때까지 모든 문자를 출력하라는 것이 정의입니다.)
그래서 Hello를 출력했고, 뒤에도 문자가 있네요. 그게 바로 | n입니다. 이것은 아무 형태도 아니고 그 자체가 그냥 문자입니다.
그래서 Hello | n이 나오는 것입니다.
앞에의 %s는 뒤에 작성하신 str이라는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으로 대치되고 나머지는 아니니까요.
이해에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대댓글로 부탁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태양님!
이태양님이 작성하신 코드를 보면, printf
함수 내 사용된 %s|n
때문에 이러한 출력 결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s
는 문자열을 출력하도록 하며, 뒤에 |n
은 단순한 문자열로 처리되어 출력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n
을 출력하고 싶지 않다면, 줄바꿈을 의미하는 올바른 형식인 \\n
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기대하시는 결과가 나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
char *str = "Hello";
printf("%s\n", str); // \n으로 수정하여 줄바꿈
return 0;
}
이렇게 하면 “Hello” 출력 후 줄바꿈이 적용되어 결과가 Hello
다음에 새 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 답변된 내용이 있습니다. C언어 배열과 문자열 강의 관련 질문에서는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과 출력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