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79
0
이번 카프카에서는 두 가지를 배운거 같은데
1. order -> catalog로 프로듀서와 컨슈머로 역할을 나눠서 재고관리
2. 두개의 포트에서 단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했을 때 카프카를 이용해서 관리하는 거 이렇게 두 가지 가르쳐주신 거 같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1번은 카프카를 사용한 이유는 예제를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습니다. 카프카말고 @FeignClient를 사용해서 주문을 했을 시에 catalog에 접근하여 재고를 업데이트 시켜주면 되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2번은 카프카를 사용했어야 했다고 생각한 이유가 2개의 서버포트가 단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했을 시에 카프카 유무에 따라 동시에 같은 주문이 들어왔을때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질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적은 내용이 틀리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kongminoo님.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카프카를 사용한 이유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의 두 가지 사용 사례에서 카프카는 각각 비동기 통신과 일관성 유지의 장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 서비스 간의 효과적인 통신과 데이터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추가적으로 학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Kafka sink connector를 통해서 단일 데이터베이스 저장을 했을 때 장점?
- 단일 DB 연결을 위한 Kafka 사용 이유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