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hello2.servlet.basic.request;
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bind.ObjectMapper;
import hello2.servlet.basic.HelloData;
import jakarta.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karta.servlet.ServletInputStream;
import jakarta.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util.StreamUtils;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io.charset.StandardCharsets;
@WebServlet(name = "requestBodyJsonServlet", urlPatterns = "/request-body-json")
public class RequestBodyJson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ervletInputStream inputStream = req.getInputStream();
String messageBody = StreamUtils.copyToString(inputStream, StandardCharsets.UTF_8);
System.out.println("messageBody = " + messageBody);
HelloData helloData = objectMapper.readValue(messageBody, HelloData.class);
System.out.println("helloData username = " + helloData.getUsername());
System.out.println("helloData age= " + helloData.getAge());
resp.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
}
여기서 resp.setContentType을 지정한다면 포스트맨에 메세지바디에 자동적으로 json형식으로 지정이 되는건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봉준님.
질문해주신 “resp.setContentType(“application/json”)“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resp.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부분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할 때 사용되는 헤더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설정은 클라이언트에게 서버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콘텐츠가 JSON 형식임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설정이 자동으로 Postman의 요청 메시지 바디 형식을 변경하는 것은 아닙니다.
응답 헤더 설정: 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은 서버가 응답으로 보내는 데이터의 콘텐츠 타입을 지정합니다. 이는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가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ostman 효과: Postman에서 요청할 때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서버의 응답(컨텐츠 타입 설정)과는 별개로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의 형식을 직접 설정해야 합니다. 즉, Postman의 요청은 여전히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관련된 내용이 다른 질문에서도 유사하게 다루어졌습니다.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질문 링크를 공유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