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톡 아이콘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서비스 개발

order의 cancel 메서드 질문

작성

·

37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public void cancel(){ if(delivery.getDeliveryStatus() == DeliveryStatus.COMP){ throw new RuntimeException("이미 배송된 상품입니다"); } this.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 이렇게 메서드가 있는데 여기에서 orderItem 컬랙션에 있는 값들을 cancel로직을 통해 삭제하게 될 경우 db에 반영이 정상적으로 되나요? 즉 리포지토리에서 가져온 상태가 아닌 그냥 도메인 단에서 처리해줘도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되고 더티체킹이 적용되어 cancel 로직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건가요?

답변 1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염경호님.

질문하신 내용은 JPA의 변경 감지(더티 체크)와 관련된 것입니다. 아래에서 간단히 요약하며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변경 감지(Dirty Checking)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트랜잭션이 커밋되면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합니다. order.cancel() 메서드에서 orderItem.cancel()을 호출하면, orderItem은 이미 영속 상태에 있기 때문에 변경 감지가 가능합니다. 즉, OrderItem의 필드 값이 변경되면 JPA는 이를 감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쿼리를 생성합니다.

설명

  1. 영속성 컨텍스트: OrderOrderItem은 이미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객체의 상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변경 사항이 감지됩니다.

  2. 더티 체크: orderItem.cancel() 호출 시, orderItem의 상태가 변경되면 JPA의 더티 체킹이 이를 감지하고 변경을 반영합니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수동 업데이트 요청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사 질문 및 답변 링크

위 링크들을 참조하여 더티 체크와 관련된 JPA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