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5
0
예제 3번 코드를 보다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코드를 보면,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void put(String data) {
// 버퍼가 가득 찬 경우, 빌 때까지 주기적으로 체크
while (queue.size() == max) {
log("[put] 큐가 가득 참, 생산자 대기");
try {
wait();
log("[put] 생산자 깨어남");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
queue.offer(data);
log("[put] 생산자 데이터 저장, notify() 호출");
notify(); // WAIT -> BLOCKED
}
에서 인터럽트 예외가 발생하면 밑의 notify() 코드가 호출이 되지 않습니다.
이 문제 상황에서 한 스레드라도 notify()문을 호출하지 않게되면 영원히 대기 중인 스레드가 생겨서 정상적인 프로그램 종료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생각은 notify() 메서드를 finally문으로 감싸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천권욱님.
생산자-소비자 패턴에서 notify()
를 finally
블록에 넣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wait()
메소드 호출 중에 InterruptedException
이 발생하면 notify()
호출이 되지 않는 상황을 염려하고 계십니다. 이로 인해 대기 중인 스레드가 영원히 깨어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notify()
를 finally
블록에 넣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예외가 발생하더라도 finally
블록의 코드는 항상 실행되기 때문입니다.notify()
를 무조건적으로 finally
블록에 넣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notify()
는 조건이 충족될 때에만 호출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대기 중인 스레드들이 불필요하게 깨어나게 됩니다.notify()
를 호출하면 소비자 스레드에게 올바르지 않은 상태를 전달하게 되며, 이는 프로그램의 논리적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InterruptedException
이 발생하면 다시 while (queue.size() == max)
조건을 재검토하고 적절히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