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8
·
수정됨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던 중에 prestartAllCoreThreads()
외에도 prestartCoreThreads()
라는 메서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제가 인지한 두 메서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서드 |prestartAllCoreThreads()|prestartCoreThreads()|
|---------------|------------------------|---------------------|
|생성되는 스레드 수 |전체 코어 스레드 수 |1개씩 |
|생성된 스레드의 상태|active 아님 |active |
여기서 후자의 경우 1개씩 생성한다는 점은 이해가 가는데, 왜 두 메서드의 경우에서 생성한 스레드의 상태가 active냐/아니냐로 차이가 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챗지피티와 이에 대해서 대화를 좀 나눴는데 그 내용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수의 스레드가 동시에 getTask()
를 호출하면 모두 블로킹 상태가되어 락을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active 카운트가 증가하지 않는다.. 라고 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실행 결과
// case1. 생성된 스레드가 active 상태가 아님
poolExecutor.prestartAllCoreThreads();
printState(executorService);
//15:31:40.628 [ main] [pool=1000, active=0, queuedTasks=0, completedTasks=0
// case2. 생성된 스레드가 active 상태임
poolExecutor.prestartCoreThread();
printState(executorService);
//15:17:53.579 [ main] [pool=1, active=1, queuedTasks=0, completedTasks=0
답변 2
0
안녕하세요. dev.rudevico님
poolExecutor.prestartCoreThread(); 이후에 Thread.sleep(10);을 넣고 그 다음에 출력해보시겠어요^^
그럼 바로 이유를 아실 수 있을거에요.
역시 멀티스레드는 이런 타이밍까지 고민해야 해서 쉽지 않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ev.rudevico님.
prestartAllCoreThreads()
와 prestartCoreThread()
메서드에 관한 차이점에 대해 질문해 주셨네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메서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먼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estartCoreThread()
의 경우 스레드가 즉시 작업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어서 active로 보일 수 있습니다.prestartAllCoreThreads()
는 모든 코어 스레드를 준비 상태로 만들지만, 실제로 모든 스레드가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active 카운트는 0일 수 있습니다.getTask()
가 여러 스레드에 의해 호출되면서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블로킹이 걸려 스레드가 대기 상태가 되는 현상은 스레드 풀의 작업 큐와 관련이 있습니다. 스레드가 작업을 기다리는 동안 active 카운트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활성화된 스레드의 수는 스레드가 실제로 작업을 수행할 때 비로소 증가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좀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스레드 풀의 내부 작동 원리와 블로킹 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만약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유사 질문과 답변들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영한님 말씀대로 하니 해결되었습니다 !
분명 이전의 다른 예제들을 제가 추가로 만져보거나 할 때는 sleep()을 통해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해 냈었는데, 이번에는 sleep()을 생각해내지 못한 점이 참 아쉽네요. 조금만 더 생각해 볼 걸!!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군요.
기본적으로 스레드를 메모리 위에 실제로 올리려면
active
상태가 되어야 함. 또한active
상태가 되는 것이 당연함.다만,
prestartXxx()
메서드가 의도하는 바는 스레드를 메모리에 생성만 해두는 것이기에 이 의도를 명확히 반영하려면 생성된 스레드가active
상태가 아닌, 대기 상태여야 함.이때 초기에 생성했을 때
active
상태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막을 순 없고,prestartXxx()
메서드 내부에서 스레드 생성 이후에 추가적으로active -> non-active
로 변경하는 작업도 수행함. 또한 이 추가 작업에 대해서는 특정 ms 만큼의 시간이 소요됨.prestartAllCoreThreads()
의 최대 코어 스레드 수만큼을 모두 생성하는 것이기에 스레드를 단순히 생성하는 것 외에도 이것저것 할 일이 많음. '이것저것 할 일'들을 수행하는 동안 특정 ms만큼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동안 생성되었던 스레드들이 모두active -> non-active
로 변경되기에 충분함.prestartCoreThread()
의 경우 단 하나의 코어 스레드만 생성해두기 때문에 다른 할 일이 그렇게 많지 않음. 따라서 해당 스레드 호출 직후에 스레드 풀 상태를 조회하면 아직non-active
로 바뀌지 못한 상태라서active
로 조회됨.이에 대해서
sleep(10)
정도를 준 이후에 호출하면 상태 변경 작업이 충분히 완료되어non-active
로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