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5
0
windows iocp도 그렇고 linux epoll도 그렇고 너무 저수준으로 내려가거나 한 플랫폼에서만 쓸 수 있는 기술을 배우는 건 너무 아까워서요.
Boost.Asio가 크로스플랫폼 고성능 비동기 통신을 지원한다고 하는데 이걸 써서 포트폴리오를 만들면 인정받기 힘들까요?
또 만약 Boost.Asio로 입사한다면 현업에서 iocp나 epoll같은 저수준을 다룰 때 많이 어려울까요?
일단은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언리얼로 개발해서 포트폴리오로 여기저기 제출해보려고 생각하고 학습중인데 여기에 서버로 뭘 쓸까 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2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appyTanuki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Boost.Asio를 사용한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Boost.Asio는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고성능 비동기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강력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는 포트폴리오는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와 기업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특정 플랫폼에 특화된 기술(SDK)이나 IOCP, EPOLL과 같은 저수준 네트워킹 API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oost.Asio에 익숙해진 후, 필요에 따라 저수준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에 대해 비슷한 고민을 한 사례가 있어 소개해 드릴게요. 다음 링크에서 Boost.Asio의 활용과 보다 저수준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이해가 업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로서 Boost.Asio 기반의 멀티플레이어 게임은 강력한 이점이 있으며, 입사 후에는 필요에 따라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네트워킹 기술을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렸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