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mleepc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꼭 풀어보세요!) - 7문제

지표 정의 연습문제

해결된 질문

작성

·

90

0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지만 답변 올려봅니다 ..!

#1

각 영역 PV, UV

CTR : 배너영역/메뉴 카테고리/이런음식 어때요/동네맛집 각 영역 클릭율이 높은가 ?

Duration Time: 들어가서 머무른 시간이 지속됐을 때

그러나 너무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페이지 이탈 후 주문까지 이어지지 않았을 수 있음

CVR: 이런 음식 어때요?/동네 맛집 → 클릭 후 주문 전환율

~ 추천 기능이기 때문에 클릭 이후 주문까지 했을 때 잘 동작했다고 판단 가능함

 

#2 검색 만족도

CTR: 검색창 클릭율

만족도는 ? 검색 이후 위에 나열된 목록에서 주문했을 때

CTR: 목록(상위N개 설정) 클릭율

CVR: 클릭 후 주문 전환율이 높은 경우

 

#3 검색 필터 기능 활성화

CTR: 검색 필터 기능 클릭율

CTR: 클릭후 상위 목록 클릭율

CVR: 상위 목록 클릭 후 주문 전환율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

얼마나 접속을 오래 지속하냐보다는,

얼마나 자주 접속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 같음

서비스 접속율 - 얼마나 자주 접속하는가?

→ AU 정의 (DAU,WAU,MAU)

세션별 접속율 Session 정의

접속→클릭→주문 전환율 CVR

주문하기 버튼 클릭율 CTR

배민클럽과 같은 유료서비스 사용률→Retention → 충성고객일 확률 높음

 

#5

알고리즘 페이지 클릭한 사람들 수 PV?UV?

CTR: 알고리즘에 뜬 정보 클릭율

CVR: 알고리즘에 뜬 식당→ 클릭 후 장바구니 담기 or 찜누르기 전환율

CVR: 구매 전환율

 

#6

쿠팡 로켓프레시

세션별 접속율- 자주 접속할 수록 자주 주문

제품 클릭 후 구매 전환율

장바구니 담은 후 이탈율이 적은가? → 이탈이 있다면 그 이유는?

 

#7

온보딩 전 후 가입 퍼널 전환율 비교

가입 후 이탈율 확인

답변 2

0

카일스쿨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일스쿨
지식공유자

cmleepc님 고생하셨습니다! 처음에 이렇게 생각을 작성하는 것부터가 시작이라 넘 잘하셨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이렇게 계속 생각을 작성해보셔요

문제마다 의견을 드려볼게요

#1

왜 이 지표일까?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작성해보면 나의 지표 정의 역량에 도움이 되더라구요. 왜 저 지표를 봐야할까요? 왜 PV? UV? CTR? CVR? 다른 지표도 아니고 이 지표인 이유를 생각해보셔요

각각의 지표를 분자와 분모 형태로 작성해보셔요. 지표의 구성 요소에 분자 분모가 꼭 명시되어야 서로 오해하지 않는 정의를 할 수 있어요

 

#2 검색 만족도

 

#3

  • 검색 필터가 다양한데, 다양한 필터 각각의 활성화 여부를 알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CVR에서 상위 목록 클릭 후라고 되어있는데 상위 목록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면 좋을 것 같네요(명칭까지 써주시는 것이 습관이 되면 좋아요)

 

#4

배달 서비스 지표는 Output 지표들을 생각해주셨는데, Input 지표론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메트릭 하이라키 파트 강의를 들어보시면 조금 더 쉽게 떠올리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지표를 쪼개보고, 각각의 분자 분모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시도를 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6

쿠팡 로켓프레시를 말씀해주셨는데, 쿠팡 로켓프레시의 비즈니스 모델은 무엇인가요? 이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서 핵심 지표가 달라질 수 있거든요. 이 시야까지 얻으시면 더 데이터를 잘 보실 수 있을거예요

비즈니스 모델 공부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해주셔요
https://zzsza.github.io/diary/2020/08/02/how-to-study-business/

#7

  • 이것은 실험 파트 수강하시고 다시 문제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 때 다시 봐보셔요

 

문제 푸느라 고생하셨습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mleepc님께서 작성해주신 지표 정의 연습문제에 대한 답변을 참고할 수 있는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각각의 질문에 대해 심층적인 내용과 기존의 답변을 참조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관련 링크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 기능 동작 확인 지표:

    •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클릭률(CTR)과 전환율(CVR)을 설정하신 점이 인상적입니다. 각 영역별로 클릭률과 구매 전환율을 통해 특정 기능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링크: “4-8.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섹션을 참고하세요.
  2. 검색 만족도 측정:

    • 검색창의 클릭률과 목록에서의 클릭 및 주문 전환율을 사용해 검색 기능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 좋은 접근 방법입니다. 주문 전환율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 관련 링크: “4-8.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 ‘검색 만족도 지표’ 부분을 참고하여 더 심화된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
  3. 검색 필터 기능 활성화:

    • 검색 필터 기능의 클릭률을 통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상위 목록의 클릭률과 구매 전환율을 통해 기능의 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이 유용합니다.
    • 적절한 관련 링크는 현재 찾기 어렵습니다만, 앞서 제공한 두 링크의 문제해결 과정도 함께 참고해 주세요.
  4. 배달 서비스의 중요한 지표:

    • 사용자 접속 빈도와 주문 전환율을 통한 접근, 특히 AU/세션별 지표 설정 방식이 좋습니다. Retention 관련 측면도 매우 중요합니다.
    • 관련 링크: “4-8.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섹션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알고리즘 성능 지표:

    • 클릭률과 구매 전환율을 통해 알고리즘의 효과를 평가하고,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여 전환율을 높이는 방법을 검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링크: “4-8.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 섹션이 유용할 것입니다.
  6. 쿠팡 로켓프레시와 관련된 지표:

    • 세션별 접속 빈도와 구매 전환율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탈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련 링크는 제공된 질문과 가장 유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점에 유의해 주세요.
  7. 온보딩 퍼널 효과 파악:

    • 온보딩 전후의 가입 전환율과 이탈율을 비교하는 방식이 타당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 유지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관련 링크: “4-8.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 ‘온보딩 퍼널 효과 파악 지표’ 항목을 참고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cmleepc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