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Eunberry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꼭 풀어보세요!) - 7문제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

해결된 질문

작성

·

96

0

문제1 기능 동작 사용성 확인

  1. 각 영역 클릭율

  2. 클릭 이후 주문 전환율

문제2 검색 만족도 지표

  1. 결과 화면 진입 이후 주문 전환율

  2. 주문 까지 걸리는 시간

문제3 검색 필터 기능

  1. 필터 클릭율

  2. 페이지 진입 이후 필터 클릭 까지 걸리는 시간 > 사용성 지표

문제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1. 거래 DAU > 배달 앱에서의 최종 과업 = ‘주문 완료’ 가장 중요한 핵심 지표

    늘릴 수 있는 방법

    1. 빠르고 간편한 주문 과정 ux

    2. 빠른 배달 서비스 제공

    3. 폭넓은 메뉴 선택지 제공

  2. 방문 DAU > 액션 주기가 짧은 배달앱 특성상 데일리 유저수 중요할듯

    1. 쿠폰, 프로모션 마케팅

    2.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 및 추천 서비스 제공

      1. 주문 요일, 시간대별 주문 음식 등 패턴 분석해서 푸시 알림 발송

      2. 이전 검색어, 클릭 카테고리 등 분석해서 화면에서 유도

문제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

  • 파악할 지표

    • 해당 추천 콘텐츠(상품) 클릭율, 구매 전환율 확인, 콘텐츠 체류 시간 확인

  • 이유

    • 제대로 타겟팅 되었는지 클릭율로 1차적인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상품 클릭 이후 구매 전환율을 통해 유저의 행동에서 더 명확하게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 체류 시간이 짧고 이탈 했다면 관심도가 떨어진다는걸 유추할 수 있다

    • 체류 시간이 길다면 콘텐츠에 관심도가 높다는걸 유추할 수 있다

문제6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

  • 번개장터

  • 가장 중요한 지표 : 상품 등록 DAU

  • 중요 이유

    • 등록된 상품이 많아야 방문 dau가 올라가고 구매로 전환이 되면 구매/판매하는 유저의 최종 목적이 달성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번개장터는 거래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가져간다.

    • 따라서 상품 등록 과정의 ux가 복잡하지 않은게 중요한 부분이될수 있다.

  • 그 외에 확인해야 하는 지표

    • 거래 DAU

    • 방문 DAU

문제7 퍼널 개선 프로젝트

  • 개선 이후 가입 완료율 확인

  • 개전 전/후 전환율 비교

    • 전환율이 더 떨어졌다 > 이탈 지점 확인 > 개선점 파악

    • 전환율이 올랐다 > 어떻게하면 더 높일 수 있을까?

  • 가입이후 온보딩에서 소개된 기능 클릭율 확인

    • 클릭율이 저조한 기능들은 온보딩에서 생략해보기

답변 2

0

카일스쿨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일스쿨
지식공유자

Eunberry님 문제 푸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하나씩 의견을 드려볼게요.

1번에서 영역 클릭율, 주문 전환율을 작성해주셨는데 왜 이 지표를 사용해야 할까요? 지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까지 같이 작성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각각의 지표 정의를 분자, 분모 형태로 같이 말씀해주시면 다른 사람이 보고 지표의 정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답니다. 다른 문제의 지표들도 모두 분자, 분모 형태로 기록해보셔요

2번과 5번 문제는 말씀해주신 지표를사용할 수도 있고, 알고리즘 자체에서 지표가 있어서 이런 부분도 찾아보시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어요.

https://medium.com/musinsa-tech/map-416b5f143943

https://sungkee-book.tistory.com/11

위 글들을 보시면 "알고리즘"엔 이미 정의된 지표가 있을 수 있구나!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거예요. 이런 점도 인지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문제 3의 경우 필터 클릭율이 어떤 것인가요? 필터 내에서 여러 필터가 있는데 모두를 합친걸까요? 그리고 필터의 지표에 따라 어떤 Action을 해야할까요?

 

문제 4번에서 말씀해주신 지표는 Output 지표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이걸 더 쪼개보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메트릭 하이라키 파트를 보시면 더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배달 서비스의 지표를 생각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찾아보셔요. 배달 서비스에는 고객 / 가게 / 배달하는 분. 이렇게 3개의 이해 관계가 있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배달하는 분들이 없으면 주문 완료가 생길 수 없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이 부분도 같이 생각해보셔요.

 

문제 6번의 경우 상품 등록 DAU의 정의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상품 등록 수인가요? 이런 경우에 중복된 글을 올리는 사람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100% 중복은 아니고 살짝 본문 바꾸는 수준) 업자가 여러 물건을 팔고 있다면 이것은 1명으로 봐야할까요? 정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어 질문드려보아요

 

문제 7번의 경우 말씀하신 지표를 실험과 함께 확인하면 더 좋은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개선 전후의 전환율만 비교하면 시즈널리티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거든요. AB Test를 하면 전후에 영향이 어떻게 되었나 모두 알 수 있습니다. 실험 파트도 들어보시고 다시 문제를 보시면 이해되실 것 같아요!

 

문제 푸느라 넘 고생하셨습니다! 끝까지 학습해보셔요!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Eunberry님이 작성하신 질문에서는 PM(프로젝트 매니저)을 위한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지표들이 등장합니다. 각 문제마다 정의되어 있는 지표들은 PM들이 실제로 데이터 기반으로 고객 행동을 분석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클릭률과 전환율

    • 주어진 지표들, 예를 들어 클릭율과 전환율, 클릭 이후의 행동 등은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의 클릭률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기능이나 영역에 더 관심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사용자 만족도 분석

    • 검색 만족도 지표, 예를 들어 주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사용자가 서비스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에 얼마나 빨리 도달할 수 있는지를 통해 서비스의 효율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성 지표

    • 필터 클릭까지 걸리는 시간 등 사용성 지표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사용자가 기능을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 시 UX/UI 개선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중요한 성과 지표

    • 배달 서비스나 추천 알고리즘 등에서는 거래 DAU, 방문 DAU, 추천 콘텐츠 클릭율 및 전환율 등이 중요한 성과 지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서비스의 성능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각 문제의 지표와 관련된 질문들은 데이터 리터러시를 높이고, 실제 비즈니스 문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매우 유용한 예시들입니다.

자세한 설명이나 추가된 자료를 보시려면 여기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유형의 질문이나 추가로 알고 싶으신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Eunberry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