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대용량 채팅 TPS 처리를 위한 웹소켓 통신 만들며 학습하기

소켓 연결과 http

작성

·

75

·

수정됨

0

강의중에 "websocket을 연결할때 ip가 변경되는 정책으로인해 http로 구현했다"고 말씀하신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dns를 사용한다면 서버 ip 변경이 있어도 연결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ws을 유지하는게 더 좋았을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dns의 적용의 지연시간이나 기타 다른 이유들로인해 여전히 http를 선택했을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July님의 프로필 이미지
July
지식공유자

상황에 따라 꽤나 다른거 같습니다. 이거는 사실 인프라적인 부분이라서 제가 정답을 알려드리기에는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겠다라는 생각도 들어요.

 

일단 기본적으로 Azure에 대해서는 동적인 wss 통신을 지원해주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FrontDoor라는 기능을 제공을 하는데, Azure에서는 wss에 대해서 딱히 지원을 해주지 않는걸로 알고 있어요.

  • 좀 예전에 알게 된 사실이라서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AWS에 대해서는 관련하여 제가 좀 더 검색하고, 실무자님에게 물어보며 질문에 대한 답을 한번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제가알고 있는 지식을 제공해 드리는것도 좋지만 좀 더 인프라를 집중적으로 하시는 분의 의견도 들어보는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관련하여 추후에 추가로 공지해 드리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 그리고 기본적으로 어떤 플랫폼과 요청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청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지속적인 폴링 작업이 요구된다면, wss 통신이 압도적으로 HTTP보다 좋습니다. 단지 HTTP에 비해서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제외한다면요!!

김동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Http와 WebSocket을 선택하는 기준에대해 궁금했었는데 마지막 답변에서 답이 된거같습니다. 저도 이후에 다른 문서들도 읽으면서 나름대로 정리가된거같구요ㅎㅎ

추가로 인프라 실무자분의 의견도 들을 수 있다면 더 많은 도움이 될거같네요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동현님께서 질문하신 웹소켓과 HTTP 연결에 대한 내용은 웹소켓 연결이 서버 IP 변경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중요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DNS를 활용하면 서버 IP가 변경되어도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IP를 얻어 연결을 유지할 수 있지만, 웹소켓 연결 자체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열려 있으므로 IP 변경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보호 조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HTTP를 통해 엔드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은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경우 웹소켓을 계속 사용하는 것보다 HTTP로 서버 상태를 체크하고 가용한 웹소켓 서버를 안내받아 연결을 시도하는 구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과 관리 측면에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김동현님이 언급한 것처럼 DNS를 활용하면 IP 변경 시 기존 연결을 유지하고 신속하게 새로운 IP로 재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웹소켓 연결이 더욱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려해야 할 점은 DNS 변경이 각 클라이언트에게 전파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입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연결 확인 및 재연결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 답변 중 유사한 내용을 다룬 게시물이 있어 공유드리니, 더 깊이 있는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