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2
0
안녕하세요~
개인마다 갖고 있는 경험이 다르기에 본인이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경험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즉, 보편적으로 "여기까지만 적으세요" 하는 것은 없습니다.
대부분은 실무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지만, 누군가는 사이드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해당 경험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학원 또는 부트캠프에서 돋보이는 경험이나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경험을 하신 분들은 해당 경험을 작성하시기도 해요.
이상적인 예시로, 이런 케이스가 있겠네요.
실무에서는 최신 기술 스택을 사용하진 못하고 유지보수 경험이 있는 지원자가,
사이드 프로젝트 활동 또는 학원 및 부트캠프를 통해 평소 하고싶었던 기술스택을 사용하여 개발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는 것처럼
실무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것을 외부 활동으로 풀어나가는 케이스입니다.
스스로 해당 경험이 자신에게 어떤 배움 또는 성과가 되었는지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님.
경력자로서 이력서를 작성할 때, 실무 프로젝트 외에 어떤 다른 경험까지 포함해야 할지 고민이 되실 것 같습니다. 관련 기준이나 팁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릴게요.
실무 프로젝트 우선: 경력자의 경우, 실무에서 수행한 프로젝트가 핵심입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담당했던 역할, 기여도, 주요 성과를 중점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경험 포함: 실무 프로젝트 외에도 현재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경험이 있다면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기술을 배운 교육 과정이나 기술 커뮤니티에서의 활동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교육 및 훈련 기록: 학원, 부트캠프, 온라인 강의 등에서 배운 기술이 현재의 직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해당 과정을 이력서에 언급해 보는 것도 전략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초기의 학습 경험은 경력자 이력서에서 구체적으로 나열할 필요는 없습니다.
기술적 발전과 성과 중심: 경력자는 기술적 성장 성과와 연결된 이야기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어떤 결과를 도출했는지에 중점을 두세요.
관련된 유사한 질문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두 가지 링크를 추천해드립니다:
- 경력 영역 작성 시..: 이 답변에서는 경력 작성 시 핵심적인 성과와 기여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성과를 어떻게 기재하나요?”: 성과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경력자 이력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성과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이력서에 포함할 경험을 선택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