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9
0
CV Producer() 내부의 lock 스코프 안에서 cv.notify_one()하는 것 질문드립니다.
그 안에서 notify_one()을 하게 되면 확실히 큐에 푸시한 후에 다른 스레드가 가로채기 전에 notify_one을 호출하니 Consumer()의 wait()에서는 확실하게 q에 값이 있는 상태가 되는 것 아닌가요?
notify_one()을 한 후 Producer를 호출한 스레드는 스코프를 바로 빠져나올거고, 빠져나오면서 lock을 놓아줄 거고 그러면 놓아주는 순간 Consumer()의 wait는 누가 가로채기 전에 바로 들어오니 가짜 기상 문제가 해결되는 것 아닌가요. 아리달송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1 111님.
Producer에서 lock 스코프 안에서 cv.notify_one()
을 호출하는 것에 대해 질문을 주셨네요. 궁금해하시는 내용을 해결하기 위해 조금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실제로 notify_one
을 lock 스코프 안에서 호출하는 경우, Consumer가 wait
상태에서 깨어난 후 즉시 lock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multithreading 환경에서 이러한 방식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notify_one()
호출 시점에서는 lock이 걸려 있어 동시에 다른 스레드가 queue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후 lock을 해제하게 되면 Consumer가 그 때 깨어나 lock을 획득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lock의 범위와 notify의 시점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인데,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예상 가능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 관련된 답변에서 다양한 예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ondition Variable 질문입니다.
이 질문의 댓글에서는 notify_one()
을 lock 안팎에서 사용하는 예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condition_variable 파트 질문입니다.
구조적 이해를 돕기 위해 cv.notify_one()
의 내부 동작에 대한 설명이 제공됩니다.
참고로 notify_one()
과 wait()
의 사용법 및 스레드의 동기화에 관해 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흔쾌히 추가 질문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