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당황한 멧돼지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조인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작성

·

38

0

안녕하세요.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일대다 혹은 다대일 양방향 관계에서,

일 과 다 두 엔티티 모두에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드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연관관계에 종속되는(mappedBy) 엔티티에만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작성하는게 좋을까요?

 

@JoinColumn 과 mappedBy 로 연관관계의 주인만 잘 설정하면 DB 의 FK 에는 값이 잘 매핑될거고..

다만 객채 관점에서 양방향 객체의 탐색을 위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작성하는 것으로 알아서,

그렇다고 하면 FK 키가 없는 쪽 엔티티(mapped BY) 에만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당황한 멧돼지님께서 주신 질문에 대해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관련 내용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는 JPA에서 양방향 관계를 설정할 때, 객체의 관계가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1. 연관관계의 주인: JPA에서는 @JoinColumn을 사용하여 연관관계의 주인을 설정합니다. 이 주인은 외래키를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는 값이 주인 쪽 엔티티에서 결정됩니다.

  2. 편의 메서드 작성 위치: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는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에서 중심이 되는 엔티티에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실제 서비스 로직을 구현할 때 관련 엔티티들 간의 관계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FK 없는 쪽에 작성할 필요성: 반드시 FK가 없는 쪽(mappedBy)에만 편의 메서드를 작성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질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에서 한쪽 엔티티가 중심이 된다면 그쪽에 편의 메서드를 두는 것이 유지보수나 코드 읽기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으로 참고할 만한 기존 답변을 드리자면, 김영한 강사님의 설명 중 편의 메서드는 정답이 없으며 어느 쪽에 작성하든 가능하지만, 서비스 로직 관점에서 결정하라는 조언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