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11
0
def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string):
alphabet_occurrence_array = [0] * 26
for char in string:
if not char.isalpha():
continue
arr_index = ord(char) - ord('a') ->
alphabet_occurrence_array[arr_index] += 1
return alphabet_occurrence_array
print("정답 = [3, 1, 0, 0, 2, 0, 0, 0, 1, 0, 0, 2, 2, 1, 1, 1, 0, 1, 2, 1, 0, 0, 0, 0, 1,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Hello my name is sparta"))
print("정답 = [2, 1, 2, 1, 0, 0, 1, 0, 1, 0, 0, 1, 1, 1, 1, 1, 0, 1, 0, 1, 1, 0, 0, 0, 0,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Sparta coding club"))
print("정답 = [2, 2, 0, 0, 2, 1, 0, 0, 0, 0, 0, 0, 0, 0, 1, 1, 0, 1, 3, 3, 0, 0, 0, 0, 0,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best of best sparta"))
안녕하세요! 1주차 알고리즘과 친해지기 (2) 애서 첫번째 Hello my name is sparta
의 정답이 왜 "정답 = [3, 1, 0, 0, 2, 0, 0, 0, 1, 0, 0, 2, 2, 1, 1, 1, 0, 1, 2, 1, 0, 0, 0, 0, 1, 0]
인가요? [3, 0, 0, 0, 2, 0, 0, 1, 1, 0, 0, 2, 2, 1, 1, 1, 0, 1, 2, 1, 0, 0, 0, 0, 1, 0]
아닌가요?
답변 3
0
안녕하세요 maran님 질문 감사합니다!!
제가 교재 부분에 값을 잘못 넣어둔 것을 확인했습니다!!
말씀해주신 코드를 아래와 같이 변경해서 학습 부탁드리겠습니다
잘못된 입력값을 넣어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_;
더 좋은 강의를 만들 수 있도록 질문해주셔서 넘넘 감사드립니다!!!
def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string):
alphabet_occurrence_array = [0] * 26
for char in string:
if not char.isalpha():
continue
arr_index = ord(char) - ord('a')
alphabet_occurrence_array[arr_index] += 1
return alphabet_occurrence_array
print("정답 = [1, 0, 2, 2, 2, 0, 2, 1, 3, 0, 0, 2, 2, 3, 3, 0, 0, 0, 1, 0, 0, 0, 0, 0, 1,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hello my name is dingcodingco"))
print("정답 = [1, 0, 0, 0, 2, 0, 1, 1, 1, 0, 0, 2, 1, 0, 2, 0, 0, 1, 0, 1, 0, 1, 1, 0, 0,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we love algorithm"))
print("정답 = [0, 3, 0, 0, 3, 1, 0, 0, 0, 0, 0, 0, 0, 0, 2, 0, 0, 0, 2, 3, 2, 0, 0, 0, 1, 0] \n현재 풀이 값 =",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best of best youtube"))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aran0119님.
알파벳의 빈도수를 세어 해당 배열로 나타내는 코드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주어진 문자열 "Hello my name is sparta"
에서 각 알파벳의 빈도를 수집하여 배열 형태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각 배열의 인덱스는 알파벳의 ordinal 값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은 대문자 ‘H’가 소문자 ‘h’로 변환되어 세어져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질문 내용에서 [3, 1, 0, 0, 2, 0, 0, 0, 1, 0, 0, 2, 2, 1, 1, 1, 0, 1, 2, 1, 0, 0, 0, 0, 1, 0]
가 아닌 [3, 0, 0, 0, 2, 0, 0, 1, 1, 0, 0, 2, 2, 1, 1, 1, 0, 1, 2, 1, 0, 0, 0, 0, 1, 0]
이라고 생각하신 점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요, 여기서 h
의 위치가 7
이며 H
가 등장한 횟수는 1이므로 빈도수 배열에 3
이 아닌 1
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계산하는 방법은 아마도 케이스의 차이를 잘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문자열에서 대소문자를 변환하여 일관되게 소문자로 계산하거나 대문자로 변환하여 계산해야 할 것입니다.
코드를 수정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def find_alphabet_occurrence_array(string):
alphabet_occurrence_array = [0] * 26
for char in string.lower(): # 여기서 전부 소문자로 변환합니다.
if not char.isalpha():
continue
arr_index = ord(char) - ord('a')
alphabet_occurrence_array[arr_index] += 1
return alphabet_occurrence_array
이 코드로 변경하면 대소문자 구별 없이 알파벳의 빈도를 올바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기존의 답변을 통해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다른 팁도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다음 링크들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