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6
0
return HttpResponse("""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title>Melon List</title>
<style>
body {
width: 400px;
margin: 0 auto;
}
table {
width: 100%%;
border-collapse: collapse;
}
table, th, td {
border: 1px solid black;
}
</style>
</head>
<body>
<h1>Melon List</h1>
<table>
<thead>
<tr><th>팀명</th><th>순위</th></tr>
</thead>
<tbody>
%s
</tbody>
</table>
</body>
</html>
""" % (partial_html,))
여기에서 굳이 % (partial_html)) 또 잘 실행 되는데 % (partial_html,)) 쉼표를 사용하는 이유는 정확하게 뭔지 알 수 있을까요? gpt는 튜플로 만든다고 설명 해주었는데 td안에 튜플로 넣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파이썬 문자열 포맷팅에서 말씀하신 대로 인자가 1개일때에는 튜플/리스트를 쓰지 않고, 단일 값으로 지정해도 값이 <파이썬에서 알아서 잘 처리>해줍니다.
하지만 2개 이상일 때에는 튜플이나 리스트로 값을 전달해야하는 데요.
문자열은 iterable하기 때문에, 아래 코드는
"%s %s" % "ab" <- 동작하지 않는 코드입니다.
저는 아래 코드처럼 읽히기도 해서요.
"%s %s" % ("a", "b") <- 동작하는 코드
그래서 저는 인자가 1개이더라도 튜플이나 리스트로서 값을 전달하는 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 지 모르겠습니다.
살펴보시고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추가 질문 부탁드립니다.
감사드리고, 화이팅입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kh5040님.
작성하신 코드에서 """ % (partial_html,)
의 쉼표는 파이썬에서 문자열 포맷팅을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
연산자는 문자열 포맷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 (partial_html,)
는 partial_html
변수를 튜플로 감싸는 형태입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설명하겠습니다:
문자열 포맷팅: %
연산자를 사용할 때, 형식 지시자를 포함한 문자열에 대한 대체값으로 튜플이 전달되기 때문에 이 경우는 partial_html
만 대체값으로 넘기지만, 여전히 튜플 형태로 작성해야 합니다. 이는 파이썬의 포맷팅 규칙에 따른 것으로, 하나의 값이더라도 튜플로 작성해야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쉼표의 역할: partial_html
뒤에 쉼표를 추가하면 단일 요소 튜플로 간주됩니다. 파이썬에서는 단일 요소 튜플을 생성할 때 쉼표를 붙여야 하며, 이는 (partial_html,)
형태로 작성합니다. 이 경우, 쉼표는 partial_html
변수를 튜플의 단일 요소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문자열 포맷팅에서의 필요성: 문자열 내에 변수를 삽입할 때 튜플로 감싸는 이유는, 포맷팅 시 복수의 변수를 안전하게 넘기거나 확장 가능하게 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하나의 값이라도 미래의 코드 확장성을 고려해서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입니다.
관련된 추가 설명이나 비슷한 예제에 대한 답변을 찾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문자열 포맷팅 및 쉼표 설명 - 문자열 포맷팅에 관한 설명이 포함된 게시물입니다.
파이썬 문자열 포맷팅 관련 Q&A - 비슷한 문자열 포맷 관련 질문을 다룹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