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3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while 한번마다 이중반복문으로 bfs 시작점을 찾았기 때문에 시간초과가 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어느정도로 시간이 걸리는지 특정하지 못하겠습니다. 이중반복문이어도 x가 있을 때 바로 go를 실행하니 O(NM)이라 할 수 있나요? 시간복잡도 측면에서 어떻게 되는지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N, M;
vector<vector<char>> graph;
vector<vector<bool>> visited;
vector<pair<int, int>> ice;
bool ok = false;
int x1, y1, x2, y2;
int cnt = 0;
int dx[4] = {0, 0, -1, 1};
int dy[4] = {1, -1, 0, 0};
void reachable(int x, int y) {
queue<pair<int, int>> q;
vector<vector<bool>> check(N, vector<bool>(M, false));
check[x][y] = true;
q.push({x, y});
while (!q.empty()) {
auto [cx, cy] = q.front();
q.pop();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cx + dx[i];
int ny = cy + dy[i];
if (nx < 0 || nx >= N || ny < 0 || ny >= M) continue;
if (check[nx][ny]) continue;
if (graph[nx][ny] == 'L') {
ok = true;
return; // 다른 백조를 찾으면 즉시 반환
}
if (graph[nx][ny] != 'X') {
q.push({nx, ny});
check[nx][ny] = true;
}
}
}
}
void go(int x, int y) {
if (graph[x][y] == 'X') {
ice.push_back({x, y});
return;
}
visited[x][y] = true;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 (nx < 0 || nx >= N || ny < 0 || ny >= M) continue;
if (visited[nx][ny]) continue;
go(nx, ny);
}
}
int main() {
cin >> N >> M;
graph.assign(N, vector<char>(M));
visited.assign(N, vector<bool>(M, false));
int l_count = 0;
for (int i = 0; i < N; i++) {
string s;
cin >> s;
for (int j = 0; j < M; j++) {
graph[i][j] = s[j];
if (graph[i][j] == 'L') {
if (l_count == 0) {
x1 = i;
y1 = j;
l_count++;
} else {
x2 = i;
y2 = j;
}
}
}
}
int ret = 0;
while (true) {
reachable(x1, y1);
if (ok) break;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ted[i][j] && graph[i][j] != 'X') {
cnt++;
go(i, j);
}
}
}
// 빙판 녹이기
for (const auto& pos : ice) {
graph[pos.first][pos.second] = '.';
}
ice.clear();
ret++;
}
cout << ret << endl;
cout << cnt << endl;
return 0;
}
답변 1
0
안녕하세요 ㅎㅎ
while 한번마다 이중반복문으로 bfs 시작점을 찾았기 때문에 시간초과가 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어느정도로 시간이 걸리는지 특정하지 못하겠습니다. 이중반복문이어도 x가 있을 때 바로 go를 실행하니 O(NM)이라 할 수 있나요?
-> 네 거의 맞습니다. 이중반복문안에 함수가 있어 그렇게 됩니다. 정확히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한 번의 BFS는 최악의 경우 격자 전체(즉, O(N×M))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만약 swan들이 만날 때까지 총 D일이 걸린다면, 매일마다 O(N×M) 작업을 수행하므로, reachable 함수 전체의 비용은 최악의 경우 O(D×N×M)입니다.
여기서 D는 최대 max(N, M) / 2 이므로 (끝지점에 백조가 있고 다 얼음인 경우) N이 더 클 때 O(N^3)정도의 알고리즘이 됩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한 번의 bfs가 최악의 경우 O(NxM)인 건 알겠습니다! 그럼 이 bfs 뒤 새로운 bfs는 O(NM)이 아닐텐데-어쨌든 앞 과정에서 얼음이 녹았으니까요!- 그럼에도 O(NM)이라 간주하는건가요?
그리고 D의 최악의 경우는
x x x x L
L x x x x
와 같은데 제 코드로 시뮬레이션을 한다면 5일이 걸리는데 왜 max(N,M)/2로 수식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