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00
·
수정됨
0
특정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어드민으로 구현해야 하는 업무를 하는 PM은 어떻게 업무를 해야할까요?
강의 내용 중 '기능을 만들고 출시하기'를 목표로 하거나, 상세 스펙 문서에 집중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말씀주셨는데요.
확장성있는 비즈니스를 전개하기 위해서, 엑셀, 노코드 등으로 구현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어드민으로 구현하는 업무를 진행하여야 할 때도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운영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특정 기능을 정해진 기간까지 구현해 달라는 요구사항을 받기도 하고요.
이러한 상황에서도 '프로덕트를 성공시키기'를 목표로 하는 PM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업무를 해야할까요?
최대한 '프로덕트를 성공시키기'를 목표로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어드민 구현에 대한 목표를 '운영자의 운영 리소스를 최소화 하는 것'으로 잡았습니다.
이에 대한 성과 지표는 '현재 엑셀, 노코드로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리드타임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잡았고요.
그 다음 현재 운영 방식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운영 방식에서 pain point 기반으로 적절한 솔루션을 정의하였습니다.
다만, 위와 같이 진행하더라도 '요구사항을 확정'하고 '일정'을 맞추는 것을 중시하게 되고, 상세한 스펙 문서를 작성하는 것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고견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2
창우님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주제에 관해서는 강의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다보니 갈증이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이 주제는 어드민 경험이 많지 않은 제가 답변드리기보다는, 다른 자료들을 소개시켜드리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internal product management 라는 키워드로 검색해서 나오는 자료들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해외 자료: https://www.mindtheproduct.com/advice-for-internal-product-managers/
국내 자료:
https://toss.im/career/article/internal-product-manager-interview
https://toss.tech/article/only-3-users-product
https://toss.tech/article/how-to-make-marvelous-productivity-with-well-made-system
민우님, 양질의 자료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읽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