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5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강의에서 NotEnoughStockException 을 새로 만드셨는데,
IllegalArgumentException을 사용하는 것은 어색한가요? 처음엔 도메인에서 exception 처리 때문에 별도로 생성한 것이겠지하고, 넘어갔는데 주문 취소의 배송완료된 상태에서는 IllegalStateException 을 사용하셔서,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mmitAndRun님,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프링과 JPA 강의에서 NotEnoughStockException
과 같은 커스텀 예외를 만드는 이유는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예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일반적으로 IllegalArgumentException
이나 IllegalStateException
은 많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지만, 특정 비즈니스 로직에 맞는 예외를 정의함으로써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명확성: 커스텀 예외를 사용하면 어떤 일이 잘못됐는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EnoughStockException
은 재고가 부족할 때 발생함을 명확히 알려줍니다.
비즈니스 로직 적용: 식별이 명확한 예외를 사용하면, 비즈니스 로직이 변할 때 개발자가 더욱 쉽게 코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코드의 의도 표현: 팀원 간의 협업 상황에서도 커스텀 예외는 코드의 의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내용을 고려하여 강의에서는 다양한 예외를 사용하였으며, 상황에 맞는 예외를 정의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오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고 합니다.
질문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유사한 내용의 게시물을 참고하시길 권장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예외 처리에 관한 강의에서의 설명을 복습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