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4
답변 2
2
안녕하세요 태정님! 🙂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운영 환경에서 외래키 (FK) 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연관관계에 놓여 있는 Table에 대해 FK를 설정하지도, JPA를 통해 선언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FK를 참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시려면 별도의 JPA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제가 FK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1) FK로 인한 여러 성능 상의 불이익 2) 운영 및 테스트 대응의 번거로움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태정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를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외래키를 꼭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지는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팀의 스타일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연성과 성능:
복잡한 트랜잭션 처리:
반면, 외래키를 사용하면:
스프링과 JPA를 함께 사용하실 때, 외래키 제약을 꼭 사용하지 않아도 엔티티 간의 연관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JPA에서는 객체 자체의 관계를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관련된 글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번 참고하여 보세요:
- 실무에서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현업에서도 외래키를 잘 사용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