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박태정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4강. JPA 연관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들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작성

·

84

0

이렇게 연관관계가 있는 키들은 외래키로 참조하고 있다는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2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태정님! 🙂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운영 환경에서 외래키 (FK) 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연관관계에 놓여 있는 Table에 대해 FK를 설정하지도, JPA를 통해 선언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FK를 참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시려면 별도의 JPA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제가 FK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1) FK로 인한 여러 성능 상의 불이익 2) 운영 및 테스트 대응의 번거로움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태정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태정
질문자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현업에서도 외래키를 잘 사용하지 않나요???

최태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태현
지식공유자

네네 맞습니다! 물론 워낙 케바케 이고 구성원 분들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제가 경험한 모든 회사는 외래키 사용을 지양했어요~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태정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를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외래키를 꼭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지는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팀의 스타일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연성과 성능:

    • 외래키 제약조건을 사용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의 무결성 보장은 없지만, 응용 프로그램 레벨에서의 처리로 더 많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 측면에서 외래키 제약조건이 없다면 테이블 간의 조인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복잡한 트랜잭션 처리:

    • 외래키가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강제성이 있어 트랜잭션 관리와 처리에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환 참조 문제나 다중 테이블 갱신 시의 복잡성 등이 있습니다.

반면, 외래키를 사용하면:

  • 데이터 무결성을 자동으로 보장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구조 상에서 명시적으로 관계를 정의하여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스프링과 JPA를 함께 사용하실 때, 외래키 제약을 꼭 사용하지 않아도 엔티티 간의 연관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JPA에서는 객체 자체의 관계를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관련된 글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번 참고하여 보세요:
- 실무에서 외래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