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후시딘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유분투(Ubuntu)에 고정 IP 할당하기

sudo systemctl status sshd

작성

·

76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고 설치를 따라하는 중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가 실행이 아래처럼 되지않아서문의 드립니다.

image.png

sudo apt-get update를 해봤는데

image.png

라고 뜹니다.

원래는 중간에 us 부분이 kr 이었는데

 

https://blog.naver.com/lewisel/221893514069
해당 블로그를 보고 변경했습니다.

(다른블로그의 %s/kr.archive.ubuntu.com/ftp.daumkakao.com로 변경하라는 글도 실행해보았습니다.)

그래도 안되어서 찾아보니 dns정보를 입력하라는 글도 보아서 /etc/resolv.conf 에 nameserver 8.8.8.8도 추가해보았고, /etc/network/interfaces파일도 추가해서 dns-nameservers 8.8.8.8 도 추가해보았지만 그대로인 것 같습니다.

현재 다른 설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image.png

 

image.pngimage.pngimage.pngimage.pngimage.pngimage.pngimage.pngimage.png

 

답변 2

0

권 철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 철민
지식공유자

안녕하십니까,

이런 경우는 잘 발생하지 않는데, 혹시 집에서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하시는 건가요? 아님 회사 네트웍에 연결된 PC에서 하시는 건지요? 회사 네트웍이면 방화벽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후시딘님의 프로필 이미지
후시딘
질문자

안녕하세요. 집에서 와이파이로 노트북 사용합니다.!

권 철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 철민
지식공유자

apt-get이 안되는 걸로 봐서는 VM환경에서 외부 네트웍으로 연결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네트웍 설정 실습 강의를 다시 보셔서 다시 한번 설정해 보시겠습니까?

안되면 vm을 처음부터 다시 강의 영상을 보시고, 설치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후시딘님의 프로필 이미지
후시딘
질문자

유선 연결이 아닌 와이파이 무션 인터넷으로 노트북 사용중인데 이부분은 상관이 없이 동일하게 진행하면 되는걸까요?

권 철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 철민
지식공유자

네, 상관없습니다.

후시딘님의 프로필 이미지
후시딘
질문자

다시 VM 생성 부터 해보았는데

인터넷이 연결이 안되는 시점이

네트워크의 다음에 연결됨 NAT에서 호스트 전용어댑터로 바꾸면 그다음부터는 인터넷이 연결이 안되더라고요. virtual box도 새로 깔아야 할 필요는 없겠죠?

버전은

VirtualBox-7.1.4-165100-Win이고

우분투는 ubuntu-20.04.6-desktop-amd64 다운 받았습니다.

고정 IP 강의부터 안되는 것 같아요.

강의와 다른 점은

image.png



우분투의 네트워크 설정하는 부분이 저는 유선 연결 설정 밖에 없는데 강사님 화면에는 이더넷(enp0t8?)이 있다는 점이 다른 것 같습니다.!

권 철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 철민
지식공유자

ifconfig 하시면 VM 설정의 네트워크 어댑터 2의 MAC 주소에 해당되는 ethernet이 나오지 않나요?

후시딘님의 프로필 이미지
후시딘
질문자

제가 이더넷 설정부분에서 잘못 들어서 설정이 잘못되었었네요 ㅠ 해결되었습니다.

권 철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 철민
지식공유자

해결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즐강 하십시요 ^^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후시딘님.

네트워크 오류로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sudo apt-get update가 오류를 일으키는 상황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설정이나 DNS 서버로 인한 문제로 보입니다. 여기에 대해 이미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셨지만, 몇 가지 추가로 확인해야 할 사항과 해결방안을 제안드립니다.

  1. DNS 설정 확인 및 업데이트:

    • /etc/resolv.conf에서 nameserver를 8.8.8.8로 설정하셨다고 하니, 추가로 다른 무료 DNS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구글의 다른 DNS 서버인 8.8.4.4를 추가로 시도해 보시거나 클라우드플레어의 DNS 1.1.1.1를 사용해 보세요.
    • /etc/resolv.conf에서 직접 편집 후에도 변경 사항이 계속 리셋 된다면, 네트워크 관리 데몬(NetworkManager)의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2. 다른 소스 리스트 확인:

    • /etc/apt/sources.list 파일을 열어 현재 사용 중인 저장소가 적절한지 확인하세요.
    • 현재 us에서 kr로 변경하셨다고 하셨지만, 변경된 저장소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 필요합니다. 잘못된 저장소 URL이 포함되어 있을 추가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 연결 구성 확인:

    • VirtualBox 네트워크 설정에서 “호스트 전용 어댑터”가 사용 중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해보세요.
  4. 프록시 설정 확인:

    • 시스템에 프록시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프록시가 네트워크 접근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5.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 ifconfig 결과에서 기본 게이트웨이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정확히 접근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관련된 질문으로 도움이 되는 URL이 있습니다:
- NameServer를 찾을 수가 없다고 합니다! – 이 게시물에서 VM 네트워크 설정 문제로 비슷한 문제를 해결한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