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6
답변 2
0
안녕하세요, 김동민 님!
정해져 있는 방식은 아니고, 프로젝트 구성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꼭 필요하지 않다면 기본 프로파일로도 테스트 가능하겠지만, 저는 영향도를 낮추기 위해 테스트 환경 프로파일을 주로 분리하는 편이에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동민님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JUnit Test를 할 때, 특히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테스트의 경우, 실제 운영 환경과 분리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를 통해 테스트 중 원본 데이터의 훼손을 방지하고, 테스트가 독립적이고 반복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데이터 보호: 테스트 수행 중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운영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합니다.
환경 설정 분리: 테스트와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을 분리하면, 테스트 중에 환경 변수를 일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plication-test.properties
같은 파일을 만들어 테스트 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 테스트 환경에서는 H2 같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테스트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신뢰성 있는 테스트: 테스트가 수행될 때마다 환경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테스트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높입니다.
application-test.yml
파일을 두고, 테스트 실행 시에는 해당 프로필을 활성화하여 테스트가 필요한 스펙과 설정을 불러옵니다.관련하여 자세한 설정과 활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마이바티스와 테스트 코드 - JPA와 마이바티스 환경에서의 테스트 구성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SpringBootTest 사용 이유 - Spring Boot 환경에서의 테스트 방법론에 대한 깔끔한 설명글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