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수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프로젝트 생성

build.gradle 수정(No junit.jar 에러)

작성

·

209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권기선님, 공식 서포터즈 OMG입니다.

자바 버전을 현 시점 스프링 부트와 호환 가능한 버전으로 진행할 경우(start.spring.io 사이트에서 선택 가능한 자바 버전들)

build.gradle을 별도로 복사하여 붙여넣기보다는 강의 영상과 같이 프로젝트 생성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의존성 그대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른 분 댓글로 이렇게 써져있는 걸 봤는데 제가 섹션 5를 듣다가 No junit.jar 에러가 계속 떠서 제시해주신 대로 해결을 해보려고 했는데, 해결이 안돼서 결국 다시 처음부터 프로젝트 생성을 하고 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490836/%EA%B0%91%EC%9E%90%EA%B8%B0-no-junit-jar-%EC%97%90%EB%9F%AC%EB%A1%9C-run%EC%9D%B4-%EC%95%88%EB%90%A9%EB%8B%88%EB%8B%A4
->제가 섹션5에 질문했던 내용이고, 답변했던 내용대로 하기위해서 당시에 build.gradle을 수정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에러가 계속 발생해서 지금 다시 생성해서 할 때는 수정을 해야할지 고민이됩니다.

  1. 아무래도 시간이 좀 흘렀다보니 강의 내용과 다른 점이 있는데, depedencies에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이미 비슷한 답변을 봤지만, 저는 변경하지 않았다가 No junit.jar에러가 계속 생겼어서 다시 여쭤봅니다.

     

  2. 또 강의에서는 sourceCompatibility로 자바버전을 나타냈는데, 자동생성된 파일에서는 java{}로 묶여서 자바버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거 그대로 두고 넘어가도 되나요?

  3. 그리고 제 생각에는 테스트 서버를 돌리고 나서 문제가 생긴 것 같은데 관련이 있을 수 있나요?

답변 2

0

David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이수민님, 공식 서포터즈 Daivd입니다.

 

오류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아래 가이드를 따라 공유해 주시겠어요?

 

실제 동작하는 전체 프로젝트를 ZIP파일로 압축해서 구글 드라이브로 공유해서 링크를 남겨주세요.

구글 드라이브 업로드 방법은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https://bit.ly/3fX6ygx


주의: 업로드시 링크에 있는 권한 문제 꼭 확인해주세요


추가로 다음 내용도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1. 문제 영역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2. 문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 (오류 화면, 오류 로그 포함)

링크: 공식 서포터즈

링크: 자주하는 질문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수민님.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No junit.jar 에러는 주로 Gradle 설정 파일에서 JUnit 의존성 관련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1. JUnit 의존성 추가:
    기본적으로 Gradle의 build.gradle 파일에 JUnit 관련 의존성을 추가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JUnit5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dependencies 섹션에 추가해 주세요:

    testImplementation 'org.junit.jupiter:junit-jupiter:5.8.1'
    

    JUnit4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이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testImplementation 'junit:junit:4.13.2'
    
  2. Java 버전 설정:
    최근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java {} 블록을 사용하여 자바 버전을 설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자동 생성된 파일에서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같은 형식으로 작성되어 있다면, 해당 형식을 그대로 유지해도 무방합니다. 자바 17 이상을 사용할 경우, 호환되는 버전인지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3. 테스트 서버 및 실행 관련:
    테스트를 실행하고 나서 문제가 발생했다면, 이는 주로 테스트 환경에서의 불일치나 의존성 문제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발생한 No junit.jar 에러가 의존성 누락으로 인해 발생한 것처럼, 다른 의존성이 누락되었거나 설정이 잘못된 경우에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링크에서는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갑자기 No junit.jar 에러로 Run이 안됩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을 시도하신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추가적인 설정이나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