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4
1
안녕하세요. 도커 데스크탑 설치가 회사 컴퓨터로 설치하다보니 유료버젼만 가능한 상태인데
혹시 다른 방법에 대해 설명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위 링크와 같은 글들을 봤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우선 설치해서 해보았는데 도커의 버전은 확인가능 하나(docker --version) 도커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docker is not running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위와 같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답변 2
0
넵 아래 모듈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modprobe: FATAL: Module overlay not found in directory /lib/modules/5.10.16.3-microsoft-standard-WSL2
wsl 버전을 업그레이드 후에 재부팅하니 해결되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imsky369님.
도커 데스크탑을 회사 컴퓨터에서 무료로 설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WSL2 기반으로 도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몇 가지 단계가 필요합니다. 우선적으로, WSL2와 Ubuntu를 설치하고, 그 위에 Docker Engine을 설치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링크로 제공해 주신 튜토리얼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확인할 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SL2 설치 및 Ubuntu 배포판 설치: 먼저 WSL2가 올바르게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명령 프롬프트 또는 PowerShell에서 wsl --list --verbose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설치된 Ubuntu가 WSL2에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Docker Engine 설치: 링크에 따라 Docker Engine을 WSL2에 설치했다면, sudo service docker st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Docker 데몬을 수동으로 시작해야 할 수 있습니다. Docker 데몬이 실행 중이지 않으면 도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경변수 설정 확인: Docker의 경로와 관련된 환경변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문제의 원인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경우, 도커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sudo dockerd
명령어를 사용하여 Docker 데몬을 수동으로 실행하게 하고 나면, 별도의 터미널에서 도커 명령을 시도해 보실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유사한 상황에 대한 질문과 해결책을 참고하시기 위해 다음 링크들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도커 데스크탑 비즈니스 유료화: WSL 환경에서의 Docker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ocker login이 안됩니다. (desktop과 git bash에서): Docker 환경설정 확인에 필요한 정보와 방법을 안내합니다.
위의 해결책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문제가 지속될 경우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다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