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04
0
readAllBytes()를 사용할때 가장 빠르지만, 결과적으로 메모리를 한번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알아보면서 "단순히 파일의 크기만이 아니라, JVM의 메모리 관리 특성과 실제 운영환경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함" 으로 이해하게 되었는데요.(해당 부분에 대한 서칭이 잘못 되었다면 바로 잡아주세요.)
저에게는 이 말 조차도 두루뭉술하게 느껴져서 "작다/크다"에 대한 기준을 가늠하기에 어려움이 있는것 같습니다.
정확한 기준이 필요하기보단 어느정도 가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파일 용량 기준에 대한 간단한 계산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성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파일의 용량 기준에 대한 간단한 계산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파일의 크기가 작다는 것은 readAllBytes()를 사용할 때 메모리에 부하를 주지 않고 읽을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는 파일의 크기가 메모리의 한계 내에 있어야 함을 뜻하지만, 구체적인 크기는 여러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요소들입니다:
JVM의 메모리 크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JVM에 할당된 최대 메모리 크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Xmx 옵션을 통해 JVM의 최대 힙 크기가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Xmx512m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 한도 내에서 파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운영 환경: 서버 등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다면, 메모리 사용량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그램들이 메모리의 얼마나 많은 부분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 패턴: 파일이 자주 읽히거나 수정된다면, 가능한 메모리에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파일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운영환경에서는 보통 수십 MB 이하를 안전한 범위로 봅니다. 다만, 정확한 기준은 JVM 힙 크기, 사용 패턴, 기타 시스템 설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내용을 확인하고 더 구체적인 지침을 원하신다면, 사용하는 JVM 및 서버 환경에 대한 세부 사항을 추가로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Spring Boot의 Spring Framework는 데이터 사이즈를 표현하기 위한 DataSize
타입을 제공하여 보다 직관적인 설정이 가능하니, Spring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해당 기능도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Spring Boot의 데이터 사이즈 관리 관련 문서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