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31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고동철님.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DCL(Data Control Language)은 리복(REVOKE)과 그란트(GRANT)를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권한 관리를 주요 기능으로 합니다. 반면에, 질문에서 언급하셨던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은 커밋(COMMIT), 롤백(ROLLBACK), 세이브포인트(SAVEPOINT)와 같은 트랜잭션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마 자료 작성 시에 DCL과 TCL이 혼동되어 기입되었을 수 있으니, 해당 오류에 대해 지식공유자에게 확인을 요청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같은 수업을 수강 중인 다른 수강생들이 유사한 문의를 남겼는지 게시판에서 확인하셔도 좋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비슷한 문의에 대한 답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질문하신 내용에 궁금한 점이나 편집 요청이 있으신 경우, 강의 게시판에 의견을 남겨 주시면 지식공유자님께서 확인 후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이론 PDF가 맞습니당..!! 다만 시험에 들어가기 전 외울것 에서 sql과 조인 정리 페이지 에 쿼리 종류 보시면 나와 있습니당...!! (25쪽)
추가로 PDF에서 2쪽에 디자인패턴 부분에서 행위패턴 부분이 2개가 누락이 되어있는데 해당 부분도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