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7
0
기선님 안녕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배열 문제 3의 solution2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private int[] solution2(int[] nums, int target) {
HashMap<Integer, Integer> numberMap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nums.length; i++) {
if (numberMap.containsKey(target - nums[i]) && numberMap.get(target - nums[i]) != i) {
return new int[]{numberMap.get(target - nums[i]), i};
} else {
numberMap.put(nums[i], i);
}
}
return null;
}
상단 코드의 if 조건문에서 "numberMap.get(target - nums[i]) != i" 이부분이 반드시 필요한지, 아니면 없어도 똑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지가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배열을 1회만 순회하기 때문에 상기한 조건이 없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것 같은데 기선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F.님.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설명과 유사한 질문 및 답변을 찾아 보았습니다.
이 함수는 두 숫자의 합이 target
이 되는 두 숫자의 인덱스를 반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함수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조건문 내의 numberMap.get(target - nums[i]) != i
부분입니다. 이 부분의 역할은 동일한 인덱스를 두 번 참조하는 경우를 방지합니다. 예를 들어, (4, 2)
에서 target
을 6으로 맞추기 위해 (nums[i] = 4)
와 (nums[j] = 2)
에서 j가 i와 같은 인덱스를 가리키지 않도록 합니다.
해당 조건이 없다면, 두 숫자가 같은 경우를 해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예: [3, 3]
에서 target
이 6인 경우).
더 많은 이해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유사한 질문을 아래 링크에서 찾아 참고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꼭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