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92
0
섹션 4 도커 볼륨을 활용해 데이터 유실 방지하기를 공부하고 나서 관련된 내용을 좀더 공부하다가 바인드 마운트라는 것을 알았는데요
섹션 4 내용은 볼륨보다는 바인드 마운트에 대한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답변 2
1
안녕하세요 3831568님! 예리한 질문 주셨네요ㅎㅎ
사실 섹션 4에서 언급한 볼륨의 개념은 정확하게 얘기하자면 '바인드 마운트'의 개념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볼륨'과 '바인드 마운트'는 컨테이너와 호스트 간에
저장소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이 때문에 쉬운 이해를 위해 '볼륨'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볼륨'과 '바인드 마운트'의 개념을 구별하기 위해 아래 링크가 도움되실 것 같아서 첨부하겠습니다.
https://ok-lab.tistory.com/121
강의에서는 '바인드 마운트'에 대한 개념만 다루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도커의 '볼륨'의 개념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학습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D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생기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3831568님!
Docker에서 데이터를 지속하기 위해 활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인 “볼륨(Volume)“과 “바인드 마운트(Bind Mount)“는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각 개념과 그 차이점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Docker 볼륨 (Volume):
바인드 마운트 (Bind Mount):
각 방법은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호스트의 디렉토리 접근과 변경에 민감하다면, 바인드 마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독립적인 관리를 원할 경우에는 볼륨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이해를 돕기 위한 관련 자료로 Docker의 다양한 스토리지 옵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