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00
0
안녕하세요 강사님!
덕분엔 베리어블 사용성에 대해 한층 더 깊게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강 중에 궁금한 사항이 있는데요, 섹션 4에서 Foundation 과 Component 피그마 파일을 별도로 작업하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하나의 피그마 파일 안에 컴포넌트 작업을 같이 진행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강의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궁금하신 부분을 남겨주세요.
회사 일 관계로 빠른 답변이 어려울 수 있으며, 최대 3일 이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스크린샷 이미지, 피그마 파일 링크를 반드시 첨부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시는 걸 권장 드립니다.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해서는 1:1 문의하기로 인프런 쪽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Bear Bumble Bee님
우선 제 강의가 배리어블 사용성에 도움이 되셨다고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일한 질문을 저번 주에 디스코드 질문 답변 방에 받았으며, 답변을 여기다가 붙여 넣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회사에서 만드실 때 규모에 따라서 다르게 만드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소규모 프로덕트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의 경우는 스타일가이드, 컴포넌트를 하나로 통합해서 운용하셔도 괜찮습니다.
반면에, 여러 프로덕트나 플랫폼의 경우는 컴포넌트 라이브리러리를 따로 두시면 좋습니다. 이는 몇가지 장점이 있는데,
파일 크기가 우선 작습니다. 한곳에 모아두다 보면 나중에 규모가 커지다 보면 문제가 생깁니다.
쪼개서 관리할 수 있어 편합니다 예로,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도 여러개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고 몇개는 디자인 시스템 팀에서 나머지는 각 스쿼드에서 따로 커스텀하게도 사용합니다.
회사마다 달라서 이게 정답이라는건 없습니다. 제 경우 회사에서
스타일 가이드도 아래처럼 쪼개어 두었구요.
기본 primitive 베리어블 라이브리러리
마케팅 용 브랜드 시맨틱 스타일 가이드라인
프로덕트 용 브랜드 시맨틱 스타일 가이드라인
컴포넌트 라이브러의 경우는 아래처럼..
기본 라이브러리와 각 프로덕트별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저의 경우는 b2b, b2c 두개로 나뉘며, 둘다 웹앱입니다.) 그리고 지금 다른 서비스를 만들고 있으며, 이거에 필요한 컴포넌트는 따로 제작할 계획입니디.
굉장히 복잡해보이긴 하지만 이렇게 관리하면 확장하기 좋습니다.
만약, 적은 인원의 디자이너가 소수의 프로덕트를 만드신다면 우선 함께 통합해서 만드시고 나중에 프로덕트 복잡해지면 그때 나누셔도 무방합니다.
질문하신 부분이 혹시 해결 되지 않으셨으면 더 질문 주세요.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강의 업데이트하면서 질문해주신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넣어두었습니다. 2월에 업데이트 되면 제가 어떤 부분을 보면 보면 되는지 댓글을 남겨 놓겠습니다.(만약 제가 안 남기면 남겨달라고 대댓글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ear Bumble Bee님.
질문하신 “파운데이션과 컴포넌트 파일 별도로 관리해야 할까요?”에 대해 유사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이 있어 정보를 공유드립니다.
파운데이션과 컴포넌트 파일 관리에 대한 질문은 디자인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강의에서 파운데이션과 컴포넌트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하는 이유는 각 파일의 유지관리와 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수 있습니다. 파운데이션은 주로 컬러, 타이포그래피, 스페이싱 등 디자인의 기본적인 요소를 정의하고, 컴포넌트는 UI 요소(버튼, 인풋 박스 등)를 구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파일을 분리하게 되면 팀 내 다른 디자이너들이나 개발자들이 필요한 부분에만 접근할 수 있어서 협업 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사한 질문으로,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컨포넌트의 파일 간 이동: 여기에서 파일 관리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파운데이션과 컴포넌트를 별도의 피그마 파일로 관리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규모와 팀의 협업 방식에 따라 다르며,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하나의 파일 안에서 시작해서 프로젝트가 커짐에 따라 별도로 구분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작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