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latf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Q1) Trusted app의 구체적인 예시가 궁금합니다.

WFE, WFI, HVC

작성

·

40

·

수정됨

0

3가지 EL2 로 가는 instruction 이 있다고 했는데요,

이 세 가지는 굳이 왜 나누었고,

(찾아보니 이 질문은 동 강의 "트랩 명령어 질문" 에 나와 있네요)

또 WFE, WFI 에 저전력 기능이 왜 같이 포함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저전력모드가 hypervisor 모드 관련해서만 있는 것 같은데 하드웨어적으로 무슨 연관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platf님께서 문의하신 WFE, WFI, HVC 명령어에 대한 설명과 저전력 기능에 대한 궁금증에 답변드리겠습니다.

EL2로 가는 명령어 - WFE, WFI, HVC의 구분

  • WFI(Wait for Interrupt): 이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인터럽트를 기다리기 위해 대기 상태로 전환합니다. 이로 인해 CPU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WFE(Wait for Event): 이 명령어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며, 시스템의 전력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HVC(Hypervisor Call): 이 명령어는 하이퍼바이저 호출을 트리거하여 가상 머신 환경에서 VM과 하이퍼바이저 간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됩니다.

각 명령어의 목적은 다르며, 이를 통해 하이퍼바이저 수준의 가상화 관리뿐 아니라, 시스템의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저전력 기능이 포함된 이유

  • WFE, WFI의 저전력 기능: WFE와 WFI는 하드웨어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CPU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배터리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모바일 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저전력 모드와 Hypervisor의 관계

  • 하드웨어 연관성: 저전력 기능은 단지 하이퍼바이저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AArch64 아키텍처 전체에서 전반적인 전력 관리의 일환으로 고안되었습니다. 하이퍼바이저에서는 여러 VM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자체 저전력 대기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 질문과 관련하여 유사한 논의가 Arm 아키텍처의 구조와 원리 강의에서 다뤄진 적 있습니다. 이 링크에서 보다 자세한 설명을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platf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