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30
0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보며 실습을 따라하여 hello-world.war 빌드 후 톰캣에 배포도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jenkins는 도커를 이용하였고 톰캣은 제 local PC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이용했는데 제가 궁금한 것은 젠킨스에서 빌드 후 제 로컬 PC 톰캣 webapps 폴더 밑에 hello-world.war 파일이 어떻게 생성된 것인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톰캣 서버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위치 기본 설정이 webapps 폴더라서 그런걸까요? 젠킨스에서 어떤 설정을 참고하여 tomcat 서버 webapps 폴더 밑에 빌드 된 war 파일이 생성된 건가요?
혹시라도 질문이 이해가 안되신다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이도원입니다.
실습을 어디까지 진행하셨는지 몰라서 올려주신 내용만으로 답변을 드립니다.
젠킨스에서 Plugin 중에 Deploy to container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빌드 된 Archive 파일을 WAS(Web Application Server, Tomcat 등)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hello-world.war 파일로 빌드가 된 다음에 해당 파일을 deploy 계정을 이용하여 Tomcat에 배포(복사)하게 되는데, 이때는 배포하려는 Tomcat 에 배포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이 필요합니다. 보통 deployer 라는 계정으로 script 형식으로 배포를 할 수 있도록 권한 설정이 되어 있는 계정으로 배포하게 됩니다. 강의 실습에서도 특정 Tomcat 서버에 hello-world.war 파일이 복사되었다면, deployer 계정 설정과 "빌드 후 조치" 항목에서 "Deploy war/ear to a container" 를 추가하여 작업하신 내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 항목에서처럼 Tomcat URL을 보시면, 배포하려는 Tomcat의 주소와 계정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추가 질문사항 있으시면 다시 글 남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haelynjang님께서 던져주신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Jenkins를 사용하여 구성한 CI/CD 파이프라인에서 빌드된 .war
파일이 Tomcat 서버의 webapps
폴더에 어떻게 배포되는지 궁금해하셨군요.
Jenkins는 빌드 파이프라인을 설정할 때, 빌드 후 작업(Post-build actions)에서 배포할 파일을 지정하고 이 파일을 특정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Deploy to container
라는 Jenkins 플러그인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Tomcat의 기본 배포 폴더: Tomcat 서버는 기본적으로 webapps
폴더 내에 배치된 .war
파일을 자동으로 배포하고 실행합니다. .war
파일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된 아카이브 파일로, Tomcat은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합니다.
Jenkins 설정: Jenkins에서 Deploy to container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빌드된 .war
파일을 Tomcat 서버로 전송할 때, Tomcat 서버의 관리자 정보와 URL을 입력하게 됩니다. Jenkins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Tomcat 서버 관리자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war
파일을 전송 및 배포합니다.
아래는 이와 관련된 실습 사례입니다.
이 과정이 이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배경 정보나 단계별 과정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질문을 이어서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