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11
0
안녕하세요. UDS 관련해서 개발 중인 수강생입니다.
현재 올려주신 강의 참고하면서 핸드코딩으로 UDS 및 Reprogramming을 구현 중인데, 몇 가지 의문점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default Session에서 Extended Session이나 Programming Session으로 이동 후 특정 시간 동안 서비스 메시지가 없으면 timeout되어 default session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때 부정 응답으로 들어가는 것도 정상 메시지로 봐야 하나요? 아니면 부정 메시지가 들어오는 동안은 timeout을 계속 계산하는 건가요?
그리고 정상적으로 다운로드가 다 끝난 후 재시작을 하면, DTC Setting은 ON으로 시작하는 건가요? DTC의 기본 세팅값이 ON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OEM마다 설정값이 다르긴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쓰는 설정값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해주시고 이렇게 질문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1) 우선 각 session에는 일정 시간 동안 tester present를 받지 않으면 timeout이 됩니다. 만약 tester present가 없을시에는 default session으로 천이하여 ecu가 동작하게 됩니다. timeout으로 인해 default session에서 동작하는데 extended session에서만 지원하는 uds message를 보낸다면 부정 응답을 할텐데, 이는 정상 동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요구사항마다 다르겠지만, SW를 업데이트와 DTC는 무방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에 따라, DTC는 ON이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re-programming 도중에 발생한 error도 dtc로 남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추가 질문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vlzmf86님께서 UDS 관련하여 질문해 주셨네요. UDS(통합 진단 서비스)는 자동차 진단 프로토콜로, 다양한 세션 전환 및 타임아웃 관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답변드리겠습니다.
Timeout 동안의 부정 메시지 처리:
다운로드 완료 후 DTC 설정:
이 두 내용은 각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및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으므로, 실제 개발 시에는 해당 차량의 사양서를 참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Re-programming 시퀀스에 대한 질문 게시글도 관련 질문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Timeout 동안의 부정 메시지 처리에 대한 답변이 모호해서 다시 답변해주셨으면 합니다.
"부정 응답은 유효하지 않은 서비스 메시지로 간주되지 않는다"라고 적혀있는데, 즉 부정 응답은 유효한 서비스 메시지로 간주한다는 뜻인가요? 유효한 서비스 메시지가 들어왔으니 타임아웃 시간을 리셋하는 게 맞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