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9
·
수정됨
0
윈도우11 환경에서는 설치를 마쳤습니다.
웹서버를 파드로 띄워보기인데 그냥 편집기 아무거나 설치 하고 폴더생성 하고 폴더 안에 야물파일을 만들고, 실행(kubectl apply -f nginx-pod.yaml) 하면 되는 건가요?
저 같은 비 전공자는 어떤 원리로 실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이 그냥 ~설치 하세요, ~폴더 생성하세요, ~야물파일 만들어서 실행 하면 됩니다 끝 해버리니 헛갈립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후니미니님!
말씀해주신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헷갈릴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ㅠㅠ!
혹시 Docker로 웹 서버(Nginx) 띄우는 건 이전에 경험해보신 적이 있으실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후니미니님!
윈도우 환경에서 VSCode를 통해 웹서버와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군요. 비전공자로서 개발 환경 설정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는데요,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단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Visual Studio Code 설치: 이미 설치하셨다고 하셨으니, 이 과정은 패스하겠습니다.
VSCode 확장 프로그램 설치:
원격 서버 설정 파일 편집:
.ssh/config
)을 열어주세요.
Host <서버별칭>
HostName <서버주소>
User <사용자이름>
IdentityFile <ssh키경로>
<서버별칭>
, <서버주소>
, <사용자이름>
, <ssh키경로>
를 본인의 설정에 맞추어 기입하세요.SSH 키 생성 및 등록:
ssh-keygen
명령을 사용하여 새 키를 생성한 후, ~/.ssh/authorized_keys
에 해당 공개 키를 추가해야 합니다.접속 확인:
비슷한 환경 설정과 서버 접속 방법을 다루고 있는 게시물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 방법으로 설정과 접속이 어렵다면, 더 구체적인 단계나 에러 메시지를 말씀해주시면 추가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