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2
0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중에 궁금한점이 있어 글 남깁니다.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 톰캣이 인베디드 되어서 저절로 가져오기 때문에 서버에 따로 톰캣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각 프로젝트를 서버에 띄우게 되면 모두 톰캣이 멀티 인스턴스로 띄우고 각 프로젝트는 모두 다른 포트를 사용해야하는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각 프로젝트에 톰캣 포트 세팅을 따로 해주어야하는데 해당 부분은 서버에서 하는게 아닌 프로젝트를 배포할때 세팅 파일에 따라 세팅이 되는 걸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puchonko94님,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서는 톰캣을 내장(embedded) 서버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각 프로젝트가 내장 톰캣을 통해 자체적으로 서버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가 서로 다른 포트에서 구동되어야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에서 포트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각 프로젝트에 포트를 설정할 때는 보통 application.properties
나 application.yml
파일을 사용합니다. 해당 파일에 포트 설정을 추가하여 프로젝트 구동 시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rver.port=8081
이렇게 설정하면 프로젝트가 8081 포트에서 실행됩니다. 서버에 여러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각 프로젝트의 포트를 고유하게 설정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음 게시물은 관련된 주제에 대해 더 자세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스프링 부트 내장 톰캣과 관련된 많은 질문들이 있으니,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을 살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