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8
0
총수익은 이벤트의 Value 로 발생한 총금액에서 할인과 환불 금액을 반영한 수익이고...
상품 수익은 item 단의 상품 별 할인 환불을 반영한 수익이라고 이해 했는데요...
총 수익은 이벤트에 해당하는 값이기 때문에 항목 별로 볼 수 없는 부분 까지는 이해 되는데요..
그러면 항목별 상품 수익으로 봤을때 상품 수익 전체 합이 총수익과 같아야 할것 같은데 왜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총 수익이 상품수익 보다 높게 나타 납니다.
답변 3
1
안녕하세요. gogooma52님
아래 인프런 AI인턴이 어느 정도 답변을 주긴했습니다. 정리해보면,
총 수익(Total Revenue)는 모든 비용을 다 포함합니다.(할인, 환불, 배송료 모두 계산됨)
Total Revenue = Purchase Revenue + Subscription Revenue + Ad Revenue − Refunds
상품 수익은 상품 자체의 퍼포먼스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일부 제반비용(배송료 등)들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안녕하세요. gogooma52님
아래 인프런 AI인턴이 어느 정도 답변을 주긴했습니다. 정리해보면,
총 수익(Total Revenue)는 모든 비용을 다 포함합니다.(할인, 환불, 배송료 모두 계산됨)
Total Revenue = Purchase Revenue + Subscription Revenue + Ad Revenue − Refunds
상품 수익은 상품 자체의 퍼포먼스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일부 제반비용(배송료 등)들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ogooma52님.
구글 애널리틱스(GA4)에서 총수익과 상품 수익이 차이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총수익은 다양한 수익 이벤트(예: 구매, 구독 등)의 value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모든 형태의 매출을 포함합니다. 반면에 상품 수익은 개별 상품 단위로 산출되며, 할인이나 환불이 각 상품에 적용됩니다.
총수익이 상품 수익보다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할인과 환불의 차이: 이벤트 레벨에서 적용된 전반적인 할인 또는 환불이 상품 레벨에서는 다르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 이벤트에 대해 발생한 수익이 여러 다른 상품이 속한 주문에 포함될 경우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누락: 특정 상품에 대한 이벤트가 GA4 설정에서 누락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총수익에는 반영되지만 상품 수익에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가 비용: 배송비, 세금 등 추가 비용이 총수익에 포함되지만, 상품 수익에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된 유사한 질문 답변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 GTM 전자상거래 세팅 후, GA보고서 문의드립니다.
- GA4 이벤트 생성 방법 - GTM, GA4이벤트 차이
위 질문들에서는 GA4와 GTM을 활용한 이벤트 수집과 수익 데이터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니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