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1
0
안녕하세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저희 세대로 들어오는 네트워크 신호를 담당하는 기기가 신발장 안쪽에 있고 굉장히 여러 케이블이 꽂혀 있습니다. 가끔씩 집 컴퓨터 인터넷이 안 될 때가 있는데 그 기기를 리부팅하곤 합니다.
각 방의 벽에 랜선 케이블을 꽂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PC는 전부 벽에 있는 랜선 포트에 랜선 케이블을 꽂습니다.
거실에 있는 공유기는 거실 벽면에 있는 랜선 포트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제가 파악한 걸 말씀드려보겠습니다.
1. 세대로 들어오는 네트워크 신호는 신발장 안쪽에 있는 설비를 통해 집의 각 벽면의 랜선 포트로 전달한다
공유기가 내보내는 신호 역시 벽면의 랜선 포트로 전달된 신호를 받아서 동작한다.
PC가 랜선으로 수신하는 네트워크 신호와 공유기가 뿌리는 무선 신호는 같은 망에 속한다
이 상황에서, PC는 랜선으로 연결하고 노트북은 공유기에 연결하는 것이, 강의에서 말씀하신 하나의 공유기에 랜선으로 두 PC를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맞을까요?
이게 맞다면 영상에서 말씀하신 클라이언트 PC의 케이블 연결 해제가 노트북의 와이파이 연결 해제와 동일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변 2
1
이해됐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Wi-Fi 연결 해제가 물리적으로 신호가 끊기는 것과 같지 않군요🤔
영상에서 안내하신 방법을 그대로 구축하기엔 약간 제한이 있을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설명과 답변 참고해서 어떻게든 해보겠습니다💪
1
보통 각 가정마다 L2 access 스위치가 하나씩 들어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일 기존 L2 스위치 자리를 공유기가 대체한다면 ISP와 연결되는 WAN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각 방으로 연결되는 UTP 케이블은 공유기 포트와 연결됩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3번 상황에서 공유기 무선 + 유선 모두 한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들어갑니다. 그러나 ISP와 연결된 회선이 L2 access 스위치에 연결되고 각 방의 회선도 모두 이 스위치와 연결된 경우 공유기는 이 L2 스위치에 연결된 또 다른 스위치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다른 방에서 공유기에 연결된 호스트와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게 됩니다.
그리고 노트북 Wi-Fi 연결 해제는 유선 케이블 분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갑자기 물리적 신호가 끊기는 상황을 테스트 하고 싶다면 유선 네트워크에서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