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영문 브랜드 로고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aesang Yoon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멀티태스킹과 멀티프로세싱

시분할은 Time Slicing이 아닌가요?

작성

·

318

0

PPT에는 시분할이 Time Sharing이라고 표기되어있는데, '분할'이라는 표현에 'Sharing'이 붙어 뭔가 이상해 검색해보니 Time Slicing이라는 표현이 따로 있는 것 같더라고요. 다른 의도가 있어서 Time Slicing이라고 하신건가요?

답변 2

0

dev.rudevico님의 프로필 이미지

제가 전공수업 때 배운 내용으로는
Time Sharing System: 여러 사용자가 cpu를 공유해서 사용한다(제 의견: 사용자 = 프로그램으로 생각해도 될 듯합니다).

Time Slice: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cpu 사용 시간(제 의견: 마찬가지로 사용자 = 프로그램)
이었습니다.


또한 Sharing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미국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1. (대부분 해당 의미) 함께(동시에) 사용하다, 가지다.

  2. (하지만 해당 의미로도 사용됨) 순차적으로 사용하다. (=> 나눠서, 분할해서 차례대로 사용하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공유'는 위 1번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절대다수입니다.

때문에 과거에 영어로 된 서적들을 번역할 때 한국 정서에 맞게 '공유'라는 단어 대신 '분할'이라는 단어를 채택한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챗지피티는 다음과 같이 답변하네요.


영어에서 "Sharing"이 순차적 사용을 포함하는 사례

📌 1. CPU Time Sharing (시분할 시스템)

  • 여러 프로세스가 CPU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개념

  • 특정 순간에는 한 프로세스만 CPU를 사용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여러 프로세스가 CPU 시간을 "공유"하는 것처럼 동작

  • 즉, "순차적 사용"인데도 "Time Sharing"이라고 표현

🔹 Why "Sharing"?

  • 개별 프로세스는 한 번에 CPU를 독점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CPU 시간을 나눠 쓰는 것

  • "공동 사용"의 개념이 아니라 "차례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도 포함되기 때문


📌 2. Ride Sharing (차량 공유)

  • Uber, Lyft 같은 서비스에서 차량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사용하는 개념

  • 어떤 경우에는 동시에 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다른 사람이 사용한 후 다음 사람이 사용하는 방식

🔹 Why "Sharing"?

  • 한 차량을 여러 사람이 연속적으로 나눠서 사용하는 것도 "Sharing"으로 간주

  • 특히 Uber 같은 서비스에서는 차례로 사용하더라도 Sharing의 개념을 포함


📌 3. File Sharing (파일 공유)

  • 클라우드에서 파일을 공유한다고 하면,

    • 어떤 사람은 동시에 파일을 열어볼 수도 있지만,

    •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이 사용한 후 나중에 열어볼 수도 있음

🔹 Why "Sharing"?

  • 꼭 동시에 쓰지 않더라도 파일 접근 권한을 나눠주고, 차례로 사용해도 Sharing의 개념에 포함

0

OMG님의 프로필 이미지

안녕하세요. Jaesang Yoon 님, 공식 서포터즈 OMG입니다.

PPT에는 시분할이 Time Sharing이라고 표기되어있는데, '분할'이라는 표현에 'Sharing'이 붙어 뭔가 이상해 검색해보니 Time Slicing이라는 표현이 따로 있는 것 같더라고요. 다른 의도가 있어서 Time Slicing이라고 하신건가요?

질문에서 PPT에 시분할이 Time Sharing이라고 하였는데, 다른 의도가 있어 Time Slicing이라고 표현한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뒤에는 Time Sharing이 맞겠죠?

.

시분할은 Time Sharing이라는 용어로 정의된게 맞습니다.

 

image.png

Time Sharing이 틀린 용어가 아닌 것은 위키 문서를 보니 맞고, 그럼 왜 slicing이 아니라 sharing으로 정의되었는지도 해당 문서를 통해 예상하면,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 인해 분할(작게 쪼개는) 개념보다는 쪼개서 공유하는 개념으로 용어 번역이 시분할로 된게 아닐까 싶습니다 😀

image.png

 참고)

위키(한글)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B6%84%ED%95%A0_%EC%8B%9C%EC%8A%A4%ED%85%9C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Time_Sharing_Operating_System

감사합니다.